신용사회 위협, 은행측 책임이다

신용사회 위협, 은행측 책임이다

은행카드 위조 예금인출사건은 은행 및 은행원의 윤리의식 결여, 카드 위조의 지능화 등 두가지 점에서 충격이다 .우리은행의 경우 전·현직 은행원 2명이 비밀번호를 포함한 고객정보를 카드 위조범들에게 넘긴 것은 은행마저 믿기 어렵게 만든 신용사회 파괴행위다. 은행측도 문제다. 우리은행 안산 군자지점은 고객 48명의 계좌에서 53차례에 걸쳐 1억8천여만원이 도난됐는데도 경찰이 수사에 착수하기 전까지 신고를 외면한 것은 윤리의식의 결함을 드러낸 처사다.

농협과 부산·광주은행의 카드위조 인출사건은 용의자들이 객장에 버려진 입·출금 전표에서 고객의 비밀번호 등 신상정보를 입수했다고 주장하지만 믿기지 않는다. 청원경찰이 상주하고 있는 객장 쓰레기통을 그토록 뒤지는 게 과연 가능한지 의문이다. 또 청원경찰이 아니어도 찢긴 전표를 주워 모으는 것은 객장의 고객들이 이상하게 볼 수 있는 일이어서 결코 쉽지 않다. 결국 은행과 은행원의 보안및 윤리의식 실종다부정인출 피해를 가져왔고 또 키웠다.

카드위조의 지능화 역시 신용사회의 근간을 위협한다. 그동안의 카드위조는 외국 조직과 결탁, 국내 은행카드를 ‘엔코딩기’라고 하는 복제기로 위조해 거액의 물품을 구입하는 수법에 그쳤다. 그러나 이번 카드위조는 자력으로 만들어 그것도 직접 현금 인출이 가능했던 신종범죄인 점에서 크게 주목된다.

광명경찰서는 우리은행과 농협, 부산·광주은행 등의 카드위조 예금 인출사건을 검거된 총책 송모씨(42)등 일당의 범행으로 보고 미검거 용의자를 수배하는 등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경찰 수사의 개가에도 은행 고객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또 다른 유사범죄가 잇따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금융권을 강타한 예금 불안은 전적으로 은행측 책임이다.

보완장치에 완벽을 기하는 긴장이 요구된다. 위조카드에 의한 현금 인출을 막기 위해선 전산 자동인식을 통해 위조여부를 확인, 위조카드엔 강제 해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 작동 등을 투입비가 많다는 이유로 더 미루지 말고 시급히 강구해야 한다. 아울러 은행원에 대한 윤리의식 교육도 강화돼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