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보안기구 상설화를

주말 전국을 강타한 인터넷 대란은 인터넷의 보안문제를 조금만 신경썼더라면 이렇게까지 큰 혼란과 막대한 피해를 주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에서 새삼 인터넷 보안의식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었다. 정부와 인터넷 업체가 인터넷 보급 확대에 치중한 것만큼 보안문제에 신경을 썼더라면 충분히 사전에 감지, 조치할 수 있었던 것이어서 정책 부재를 탓하지 않을 수 없다.

인터넷 강국이라는 한국이 사이버 테러 한방에 다운되는 사태는 그 동안 인터넷 보안문제에 얼마나 등한시하였는가를 실증적으로 나타내주고 있다. 인터넷 대란으로 인한 피해는 대단하다. 피해 규모는 앞으로 구체적으로 밝혀지겠지만 우선 단순하게 나타난 피해만도 상상을 초월하고 있다. 각종 민원신청, 교통예약, 쇼핑몰, 온라인 게임 등이 올 스톱됨으로써 야기된 피해는 현재로서는 피해 규모를 알 수 없을 정도로 대단한 규모이다.

이제 인터넷은 우리 생활에 필수품이 되었다. 인터넷 사용자가 전 인구의 약 60%에 육박하고 있으며, 초고속 인터넷 가입가구도 1천만 가구가 넘고 있다. 은행 업무는 물론 행정 민원을 비롯한 대부분의 업무가 인터넷에 의하여 처리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터넷 접속 마비는 우리의 생활 자체를 암흑으로 만들고 있어 새삼 인터넷이 우리를 얼마나 지배하고 있는가를 생생하게 증명해 준다.

우선 정부는 이번 사태를 거울삼아 인터넷 보안문제를 다루는 전국가적 기구를 상설화해야 한다. 이번에도 최초의 웜 바이러스 발견은 정부가 아닌 민간업체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정부는 이런 문제에 대하여 충분하게 경고를 했기 때문에 그 후 문제는 인터넷 사용자나 업체의 문제라고 하지만 이는 변명이다. 정부는 인터넷 보안문제를 상시로 다룰 기구를 만들어 보안문제에 대한 사전 교육과 홍보는 물론 대책 수립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인터넷 업체도 보안프로그램을 더욱 개발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개인 사용자 역시 인터넷 보안문제는 내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정부나 업체에만 의존하지 말고 스스로 인터넷 보안점검을 생활화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