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를 지키겠다' 차기 대통령의 다짐

“비록 남북관계가 불안해도 어떤 일이 있어도 어떻게든 평화를 지키겠다”고 했다. “전쟁만은 없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노무현 차기 대통령은 어제 인천국제공항서 가진 국정토론회서 이같이 밝히면서 외국 기업인들에게 “안심하고 투자하여 돈을 많이 벌도록 하라”고 말했다. 토론회는 대통령직인수위가 차기 정부의 국정10대 과제인 ‘동북아 경제 중심국가 건설’ 주제로 수도권의 비전과 역할에 대해 서울, 경기, 인천 등 광역단체장과 내외 기업인 등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있었다.

이 자리에서 차기 대통령은 ‘동북아 경제 중심국가 건설’은 역사적으로 동북아의 변방에 있었던 우리 민족이 일본과 중국을 동반하면서 동북아의 중심 국가로 우뚝 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남북문제를 해결하는 민족의 미래설계와 더불어 세계 무대의 도약대임을 시사했다. ‘동북아 경제 중심국가 건설’은 단순히 우리 만이 아닌 북을 대동하는 민족사의 새로운 진운의 활로를 개척하는 웅지가 담겼음을 감지한다. 남북 및 유라시아 대륙 연계 교통망 구축을 동북아 물류개념에 포함한 대통령직인수위 자료는 경의선 연결을 앞두고 포석된 그같은 계획으로 해석된다.

동북아 비즈니스 물류 및 금융, 그리고 IT 등 지식기반산업의 중심국가로 경제적 비전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남북 공존공영의 나침반 역할이 잠재된 것으로 보여 ‘동북아 경제 중심국가 건설’계획은 더욱 새롭다. 이 점에서 경기도가 파주, 김포 일대에 개성공단 개발에 따른 남북간 경제협력과 대륙횡단철도 화물의 보관 환적기능을 담당하는 물류도시로 남북협력 배후단지 300만평 산업단지 10개소를 건설하기로 한 것은 아주 타당하다.

동북아 경제개발에서 물류나 협력 개념 등 어느 면으로든 북을 포함하는 것은 상징성이나 실효성 양면으로 새로운 전기가 되기에 충분하다. 북을 개방으로 이끌어 남북평화가 담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물론 당장은 핵 문제가 꼬여 불안한 측면이 없지 않다. 한반도 평화는 또 주변국의 협조가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수평적 한·미공조속에 주변국과 협조, 민족 자조의 남북 평화를 유지하고자 하는 노무현 차기 대통령의 평화의지 천명은 책임있는 지도자의 자세로 보여 매우 고무적이다.

주한 미국상공회의소, 유럽연합(EU) 상공회의소 관계자들과 이밖의 많은 외국인 투자기업 수뇌들에게 전쟁 재발 방지를 다짐한 것은 그의 역량이다. ‘동북아 경제 중심국가 건설’은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 번영의 ‘노무현 평화라인’으로 평가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