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산품 순례/남양주 먹골배

최상급 배의 대명사로 조선시대 말기까지 왕실에 진상됐던 남양주시 고유의 상품 먹골배. 일명 ‘꿀배’로 불릴 만큼 당도와 수분 등이 풍부해 우리나라 배의 대명사라고 해도 손색없는 먹골배는 그동안 안성,성환, 나주, 음성배 등에 밀려 그 명성만이 남아 있었다. 그러나 남양주시와 배협회의 등이 먹골배의 명성을 되찾기 위해 브랜드 개발 등 먹골배명품화사업을 벌여온 결과 국내는 물론 지난 97년부터 수출을 시작해 일본, 캐나다, 괌, 하와이 등 세계 곳고셍서 주무이 쇄도하는등 세계인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먹골배는 현재 관내에만 560가구가 매년 1만4천여t을 생산, 도내 전체 생산량의 12.5%를 차지하고 있으며 재배면적만 140여만평에 달해 배꽃이 피는 4월이면 남양주 일대는 가는 곳마다 배꽃으로 하얗게 눈이 내린듯 장관을 이룬다.

먹골배는 조선시대때 과거에 낙방한 선비들이 봉화산 기슭(서울 중화동과 신내동 및 묵동 일대)에 모여 생계유지수단으로 먹과 붓 등을 팔면서 배를 재배했는데 묵동을 ‘먹골’이라 부른데서 유래됐다.

먹골배가 남양주를 대표하는 효자농산물로 자리잡게된 배경에는 지역 특성상 유기질이 많고 물 빠짐이 좋은 양토와 사양토 등이 넓게 분포돼 이곳에서 생산되는 배는 석세포가 적으며 달고 시원한 맛이 국내 최고를 자랑하기 때문이다.

5천여평 규모의 농원에서 16년째 배를 재배하고 있는 김유한씨(47·남양주시 와부읍)는 임대농이지만 소득은 1억원 남짓으로 남양주시농업기술센터의 기술지원과 배협의회의 배와 관련된 최신 기술개발 및 정보교환·생산판매사업과 유통정보의 상호교환 등 다각적인 활동을 통해 재배노하우를 바탕으로 빚어낸 합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김씨는 “10~40℃의 다양한 경사지 초지에 과수원을 조성했는데 거의 가뭄피해가 없으며 1천500주의 배나무를 3년에 걸쳐 870그루로 간벌, 수세 확보에 최선을 다했고 3년에 걸쳐 매년 10가지, 7가지, 3가지 등을 남긴 뒤 전정하는 축지갱신법을 활용했다”면서 “농업기술센터의 상품성 향상 기술지원이 없었다면 불가능했다”고 말했다.

농업기술센터는 수출전용 특수봉지 지원, 저온저장고 및 작업실 지원, 과원 토양환경개선지원 등을 비롯, 꽃가루은행 운영 등으로 인공수분의 작업성 향상을 꾀하는 등 먹골배의 상품성 향상과 관련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농업기술센터는 특히 올해부터 먹골배명품화사업의 일환으로 유기질 비료지원사업, 특수봉지 지원사업, 규격박스 지원사업, 조류퇴치사업, 저온저장고 지원사업, 수출물류비 지원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배협의회는 배와 관련된 최신 기술개발 및 정보교환·생산판매사업 및 유통정보의 상호교환, 배수출 활성화를 위한 수출분과 구성 등 먹골배 명품화를 위해 다각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 공동선별을 통한 브랜드박스 활용으로 이미지 개선과 서울 및 관내 아파트촌 부녀회 등을 이용한 직거래도 실시, 먹골배 알리기에 여념이 없다.

이처럼 농업기술센터와 배협의회의 노력으로 먹골배가 남양주시의 효자농산물로 자리를 잡으면서 다른 자치단체에도 배 재배 기술의 모범으로 부상하고 있다.

유기문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값싼 해외 농산물 수입으로 더욱 어려워진 국내 여건에서 먹골배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선 명품화 및 해외수출을 통한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증대가 필요하다”며 “지속적인 해외수출 확대 일환으로 수출농가를 대상으로 고품질 수출배의 규격품 생산기술과 수출검역 병해충 방제 및 농약 안전사용, 합리적 토양관리 등 수출전문 컨설팅교육을 실시, 수출상품의 고급화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남양주=최원류기자 wrchoi@kgib.co.kr

■ 지 찬 능 남양주배협의회장

지찬능 남양주배협의회장은 “먹골배는 과육과 당도 등이 뛰어나 규격화와 표준화 등이 선결되면 수출 증대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 먹골배의 특징은.

*먹골배는 꼭지 부분이 다른 품종에 비해 깊숙하고 윤기가 흐르는 얇은 황금색 껍질을 갖고 있다. 특히 남양주지역 특성상 사질토양으로 토질이 배나무 재배에 알맞고 밤낮의 기온차가 커 석세포가 적으며 수분이 많아 과육과 당도 등이 뛰어나다.

- 먹골배의 지속적인 수출증대 방안은.

*남양주 먹골배의 지속적인 해외수출 관건은 규격화와 표준화 등이다. 이를위해 먹골배에 대한 당도, 색깔, 경도, 모양 등의 규격화를 위한 일정 교육수준의 농업인 교육이 제일 먼저 선행돼야 하고 고품질의 차별화된 배 생산을 위한 토양 개량, 시설기준, 봉지씌우기 등 표준모델을 개발해 명품화사업과 국제적 인증의 향배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좋은 배 구입요령과 보관요령 등은.

*색상은 푸른 기가 없는 맑고 선명한 황갈색, 크기는 둥글고 큰 것, 모양은 꽃자리가 납작하고 배 고유의 점 무늬가 큰 것, 과피는 두껍지 않은 것, 과즙은 수분이 많고 향이 나는 것, 육질은 뒷맛이 개운하고 찌꺼기가 씹히지 않은 것 등이 좋은 배로 서늘한 곳에 뒀다가 먹어야 제맛이 난다. 참고로 봉지를 씌우지 않은 것은 빛깔은 좋지 않으나 맛이 뛰어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