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 미국 행정부가 세계적 저항에 부딪혔다. 유럽 등 지구촌 60여개국 1천만여명이 참가한 반전시위는 사상 최대규모의 대미 규탄대회다. 반전, 평화시위는 국내에서도 있었다. 부시와 함께 이라크 공격에 손발을 맞춘 영국이 사찰기한 연기 수용쪽으로 발을 한발 빼고, 교황청도 전쟁방지에 나서는가 하면, 워싱턴 포스트는 ‘미국이 유엔에서 새 저항에 직면했다’고 보도했다.
유엔결의 없는 이라크 공격의 단독행동 주장의 부시 목소리가 다시 나올지 주목하면서, 우리는 또 주한미군 감축설을 밝힌 럼즈펠드 미국방장관의 경솔함에 유감을 밝힌다. 럼즈펠드 발언은 노무현 차기 대통령이 한·미간 공조에도 다를 것은 달라야 한다고 말한 직후에 나와 다분히 감정적 대응으로 보여 적절하지 않다. 문제는 부시 행정부의 인식에 있다. 견해가 다른 이견을 서로 조율하는 것이 참다운 공조다. 무조건 협조하는 것만이 공조로 보는 미국 행정부의 그릇된 인식은 패권주의다.
미국이 직면한 오늘의 불행은 부시의 패권주의가 자초했다. 북 핵문제 또한 부시가 더욱 악화시켰다. 9·11 뉴욕테러, 그리고 또 이어 증폭된 미국내 테러 불안감 역시 부시가 불러 들인 재앙이다. 미국의 많은 국민들은 전쟁보다 경제 챙기기를 더 원한다. 뉴욕타임스 등 국내 반전 여론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만약 세계적 반전 시위에도 불구하고 무모한 도발을 감행한다면 미국의 장래를 해치고 인류를 해친다. 부시 미국 행정부에 발상의 전환이 요구되는 시기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