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지하철역의 소방부재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가 발생했는데도 경기도내 지하철 당국이 재발방지대책을 수립하기는 커녕 형식적인 점검에 그치고 있어 심히 불안하다.

더구나 지하철의 관련 시설이 소방법 등의 적용을 받지 않는 등 사각지대가 속속 드러나고 있어 대책마련도 시급하다. 예컨대 역사 대합실을 제외한 승강장에 배연설비가 안돼 있다더라도 소방법상 하자가 없다.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경기도 소방재난본부가 도내 지하철역사 32곳을 대상으로 특별 소방점검을 실시한 결과 59.4%인 19곳에서 모두 61건의 각종 불량사항이 지적된 것도 지하철역의 소방부재 실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분당지역의 경우 서현·오리·미금·야탑·소내·정자 등 6개역 모두에서 화재감지기 미작동, 유도등 불량 등 21건의 각종 문제점이 드러나 지하철 이용객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과천역사는 유도등 점등이 불량한데다 옥내 소화전 펌프 누수를 방치하고, 유사시에 대비해 중앙방제식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주요 연락장치인 송수화기를 지하철 등에 설치하지 않았다.

고양 정발산·주엽역 등 5개 역사는 간이편의점 등으로 점포를 임대하면서 조립식 패널 등으로 벽을 만들고 스프링클러 헤드를 막아 놓아 화재발생시 물뿌림 작동을 하지 못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광명역사는 지하1층 매장내 스프링클러 시설이 일부 부족했으며 안양 평촌 역사는 일부 자동화재 탐지설비 회로가 끊어져있고 승강장 계단 및 지하2층 계단부분에 대형 피난구 유도등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이렇게 소방시설이 허술한 상태에서 지하철역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제2의 대구지하철 참사와 같은 혼잡한 대형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각 지하철역이 매월 4일을 ‘철도안전의 날’로 지정해 놓고도 구난·구조와 소방, 화생방 등 재난대비 훈련을 극히 형식적으로 치르고 있는 것도 심각한 안전불감증이다.

지하철 1호선과 4호선의 환승역인 금정역의 경우 1일 유동인구가 20만에 이르는데 실제 상황과 같은 구조·구난 훈련은 단 한차례도 실시하지 않았다면 문제가 많다.지하철 이용객들은 물론 공공시설 안전을 위해 지하철역들의 소방 대책을 촉구해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