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럴당 30달러선을 넘어선 유가가 떨어질 줄을 모르고 있다. 유가의 상승은 에너지소비의 97%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경제에는 매우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원유가격이 1달러 상승하게 되면 우리나라는 원유수입 추가부담금이 약 9억달러가 발생하며 유가상승에 따른 우리 수출품의 가격경쟁력 약화 등으로 약 1억 달러의 수출감소분이 발생, 국제수지에 미치는 총 손실금은 약 10억달러에 이른다. 또 0.17%의 국내소비자물가 상승을 불러일으켜 우리 경제는 국제수지 악화 및 물가상승이라는 이중고를 겪게 된다.
우리나라는 근현대사 이후 유가상승이 경제불안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주기적으로 또 지속적으로 겪어오고 있다.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 에너지의 공급측면에서는 해외유전개발, 대체에너지개발 등과 같은 에너지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그러나 좀 더 적극적인 방법으로 에너지의 수요측면을 조절할 수 있다면 더욱 효과적이지는 않을까. 경제의 성장은 필연적으로 국민생활수준의 향상을 불러일으키고 그에 따른 에너지소비의 증가는 어느 정도 불가피하다. 그러므로 미래의 에너지절약은 에너지의 무조건적인 사용 중지보다는 고효율제품의 사용이나 에너지진단 등을 통한 하드웨어의 개체 등과 같은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에너지절약은 미래의 인류를 위한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사항이다. 당장 내 주변부터 불필요하게 켜져 있는 전등은 없는지, TV의 코드는 뽑아놓고 잠자리에 들었는지, 우리집의 실내온도는 적정난방온도인 18~20℃를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자.
/정진원·에너지관리공단 경기도지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