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 운동

‘3·13운동’은 중국 지린성 룽징(龍井)에서 3·1운동의 감격을 12일만에 재연한 거족적 민족운동이다. 1919년 중국 룽징에 거주하고 있던 김약연·정재연 등 민족지도자들은 조국으로부터 3·1운동 소식을 전해 들었다. 이들은 고국의 독립운동 열기를 해외에서 다시 한번 점화하기 위해 3월 13일 정오를 기해 룽징의 서전 장터에 모여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독립 만세’를 외쳤다.

미리 정보를 입수한 일본군이 13일 새벽부터 골목마다 보초를 세우고 행인을 수색하며 가로 막았지만 눈보라 속에서도 먼 길을 마다하지 않고 달려온 중국 거주 동포들은 어느새 3만여명에 이르렀다. 일본군은 점점 늘어나는 군중을 해산하기 위하여 비무장이었던 동포들을 향해 발포를 시작, 이 시위에서 수십명이 사망했다.

룽징의 3·13운동은 이후 옌볜지구와 만주의 동포들에게 반일투쟁의 불씨를 제공했으며, 특히 무장한 적은 무장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었다. 이때부터 옌볜의 반일운동은 반일 무장투쟁으로 전환되면서 청산리전투, 봉오동전투 등 빛나는 독립운동의 역사가 시작됐다.

룽징은 함경북도와 접해 있기 때문에 3·13운동은 거꾸로 국내의 만세운동에 다시 한번 영향을 끼쳤다. 만주 지역의 중국인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심어줘 넓게 보면 중국 5·4운동에도 단초를 제공해 줬다고 할 수 있다. 3·1운동이 국내만의 운동이었다면 중국인들의 도움과 지원아래 펼쳐졌던 3·13운동은 국제적 운동의 성격을 띠고 있어 한·중 연대투쟁의 역사로 새롭게 정립, 중국과의 긴밀한 교류속에서 이를 기념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룽징 3·13운동의 역사현장은 형편없이 방치돼 있다고 한다. 3·13운동 당시 사망한 13명의 열사 유골이 안치돼 있는 ‘의사릉’은 부지조차 매입하지 못한 상태이고 중국 현지의 3·13운동 기념사업회가 세운 비석만 하나 외롭게 세워져 있을 뿐이다. 중국 룽징시도 3·13운동을 조선민족의 역사이자 중국 항일투쟁의 역사로 인정해 유적지를 사적지로 지정, 성역화하기로 방침을 정했으나 룽징시 재정이 워낙 열악해 진척이 없다는 소식이다. 당연히 우리 정부가 복원, 지원해야 할 역사의 현장이다.

/임병호 논설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