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엔 품격이란 게 있다. 논리적 품격과 감각적 품격으로 구분된다. 품격은 장합에 따라 또 수준이 다르다. 의회에서의 언어 품격은 고도성이 요구된다. 의회의 권위를 위해서다. 어제 가진 경기도의회 180회 임시회 도정 질의 가운데 품격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는 내용이 있는 것은 유감이다. 어느 도의원이 지방분권 강화를 지방의원 유급화 및 보좌관제 도입을 들어 강조한데 이어 문제의 그같은 발언이 있었다. 그 도의원은 지방분권은 지방예산의 증액임을 전제하면서 유급화와 보좌관제를 요구했다. 그러나 이의 도입엔 지금의 도의회 연간 운영비보다 약 5배로 추정되는 더 많은 예산이 소요된다. 지방의회 운영비는 국고 보조나 지원 등 대상이 될수 없으므로 지방재정이 부담해야 하며 이는 곧 주민의 세부담이다. 지방분권 강화가 주민 부담의 가중으로 연결돼야 한다고는 생각지 않는다.
그러나 이는 오늘의 논제가 아니므로 더 거론하지 않겠다. 문제는 유급화와 보좌관제 도입 강조에 이어 갑자기 도지사와 교육감은 ‘부정부패를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해달라’고 한 요구에 있다. 무엇 때문에 이런 말이 나온 것인지 도시 이해가 안된다. 부정부패 추방은 일상적 원칙이다. 질의 내용이나 작금의 전후 사정에 비추어 전혀 무관한 이같은 돌출 발언은 논리적 품격의 미흡이다. 개연성을 두고 구체성을 강요하는 것은 논리의 비약이기도 하다.
전날 미리 집행부측에 보낸 질의서 내용은 더욱 놀랍다. ‘XX질 하지 마십시오’ ‘XX질 하지 않겠다는 것을 경기도민과 국민들에게 약속해 주기 바랍니다’라는 대목은 아닌 밤중에 홍두깨도 유분수지 이성을 의심케 한다. 감각적 품격의 상실이다. 이에 도 공무원들이 반발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지의 보도로 비록 그 대목이 본회의 발언에선 ‘부정부패’로 바뀌긴 했으나 논리적 및 감각적 품격상 부적합하다는 지적은 여전히 면할 수 없다. 어떤 작위적 의도가 있었다고는 믿지 않는다. 의욕이 지나친 나머지 나온 말이라고 믿고싶지만, 어떻든 간에 품격에 맞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의회의 신랄한 집행부측 추궁은 환영한다. 그러나 추궁이 공격적일 수록이 논리 또한 앞뒤가 정연해야 한다. 그래야 집행부에 대한 압도가 가능하다. 논리가 따르지 않는 공연한 객기는 의회의 권위를 위해 고려돼야 한다. 본란이 이를 거론하는 것 역시 도의회를 아끼고자 하는 충정에서다. 도정 질의가 좀 더 시책 중심으로 접근하여 보다 생산적이고 실질적인 자리가 되면 좋겠다는 판단을 갖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