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차세대 여성지도자 키운다

경기도가 여성 정치인 등 차세대 여성 지도자 육성을 위해 위탁교육을 실시키로 한 것은 시의적절한 일이다. 정치입문 등 사회활동을 희망하는 여성들을 선발하여 예산을 투입, 전문정치교육기관에 1년 과정의 교육을 수료케 한다는 이 계획은 지난해 1천만명을 넘어선 경기도 인구 가운데 여성이 494만2천656명인 점을 감안하면 오히려 늦은 감이 있다. 여성인구가 도민의 절반이라면 정치·경제 등 전 사회분야에 걸쳐 여성의 참여폭이 그만큼 넓어져야 됨은 당연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도내 여성 경제활동 인구는 1998년 147만명, 1999년 156만명, 2000년 165만명, 2001년 171만명으로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으나 정치참여율은 4.1%, 행정관리자는 6.1%에 불과하다. 지방의회의 경우, 경기도의회 여성의원은 104명 중 7.7%인 8명, 기초의원은 500명 가운데 3.4 %인 17%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한국의 남녀평등 지수는 세계 146개국 중 29위로 상위이나 유엔인간개발 보고서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남녀권한 척도는 세계 64개국 가운데 61위로 최하위 수준이다. 여성의 정치 참여·행정관리자 등 의사결정에서의 여성참여 비율은 물론 노동시장 등에서의 지위도 낮게 나와 있다.

도내 여성들의 인력개발을 위한 전략적 기관을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적극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여성단체들의 한결같은 주장은 이래서 설득력이 있는 것이다. 이 가운데 특히 정계의 여성할당제는 조속히 도입해야 한다. 여성의 발언권 강화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여성개발사업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기업·학교·여성 NGO간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출산 및 육아로 인한 여성의 불이익을 근원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법 개정도 시급히 추진돼야 한다.

무엇보다 절실한 것은 실질적으로 여성들이 정치, 또는 국가행정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의 폭이 넓혀져야 하는 일이다. 전문적이고 창의적인 여성이 능력 발휘에 맞는 대우를 받도록 사회적 기반이 조성돼야 하는 것이다.

여성의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해 마련한 경기도의 여성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아울러 현재 추진중인 ‘경기여성개발원’ 설립 등 제반 사업들이 조속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