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근비리’ 초장에 잘라내길…

문재인 대통령 민정수석의 ‘측근 비리 확인중’ 발언에 비상한 관심이 쏠린다. 청와대 특별감찰반의 운영계획을 설명하면서 이 말이 나와 단순히 그냥 한 것으로는 들리지 않기 때문이다. 또 시사한 내용이 상당히 구체적이다. 기업체나 군의 간부들을 만나 위세를 과시하고, 집도 새로 사고 승용차도 바꿨다는 등, 이런 것은 이미 확인이 상당히 진척된 것으로 판단된다.

문 수석의 발언은 대통령 핵심 측근의 어떤 문제에 공개적 경고 메시지가 담긴 것이든, 내부 기류의 갈등 해소 차원이든 간에 국민의 입장에서는 긍정적으로 보아져 추이가 주목된다. 권력의 우산속에 들면 많은 유혹이 있어온 전철을 우리는 새 정권이 출범할 때마다 보아왔다. 이번에도 인사청탁하면 패가망신 할 것이라는 공개 경고에도 불구하고 권력에 줄 대려했던 것을 목격하였다. 하물며 권력의 우산에 든 혹자가 굳이 위세를 행사하고자 하면 팔자가 하룻밤 사이에 달라지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간 보아온 권력 변동의 비리 속성이 이러 하였다.

설령 대통령의 개혁 드라이브에 미칠 부작용을 우려하여 미리 공개적 메시지를 띄운 것이라 해도 이같은 유혹이나 위세가 아주 단절됐다고는 할 수 없다. 문 수석의 발언 배경이 어떻든 우리가 발언내용 자체에 공감하는 것은, 그가 누구이든 권력형 비리를 더는 싹 틔워선 안되기 때문이다. 전 정권을 얼룩지게 만든 갖가지 비리 게이트 연속 또한 다 우산속 권력과 직·간접으로 연계된 것이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초장에 싹을 잘라내면 상처가 적었을 것인데도 가만 놔둔 바람에 깊숙이 얽히고 설킨 공통점이 게이트마다 있었다는 사실이다.

소문이 좋지않은 측근은 미리미리 잘라내는 것이 국민에게 보여주는 개혁의 의지다. 그것이 당내 인사든, 청와대 인사든 장외 인사든 간에 상관없다. 측근을 자처하는 것부터가 이 정부의 개혁 이미지에 합당치 않다. 이에 더 빗나가 크든 작든 비리가 있었다면 그는 결코 같이 갈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문 수석의 경고가 사법처리로 이어져야 한다고 보는 것은 일벌백계의 다스림이 절실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비리를 저지른 측근을 버리는 것은 버린다기 보다는, 그 자신의 배신적 이탈로 보아 전공에 관계없이 미련을 갖지 않아야 한다. 이것이 개혁의 인식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