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김포, 화성, 평택, 이천 등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돼지 콜레라가 발생하여 축산농가는 물론 방역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지난 21일 경기도는 도축산위생연구소의 검사 결과 평택, 화성 등지의 농장 돼지가 콜레라에 감염된 사실이 확인되어 방역당국은 인근에 통제 초소를 설치하고 이곳에 가축 이동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이 농가의 사육돼지를 모두 도살 처분하는 등 조치를 취하여 추가 감염방지 대책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돼지 콜레라의 확산은 단순히 경기지역에 국한된 문제만은 아니다. 지난 18일 전북 익산을 비롯한 경남, 충남, 충북 등 전국적으로 돼지 콜레라가 확산되고 있어 농림부와 해당 지자체는 돼지 축사에 방역소독을 하고 또한 외부 차량이 통행을 막는 등 비상대책을 마련,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돼지 콜레라가 계속적으로 확산되고 있어 축산농가는 추가 감염 방지와 피해 농가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비상 대책에 가장 시급한 것은 더 이상의 추가 감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정부는 추가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전 지역에 일제 예방접종을 실시한다고 하는데, 이를 조속히 실시해야 한다. 벌써 기온이 상승하고 또한 봄철을 맞이하여 행락객을 비롯한 인구 이동이 많기 때문에 정부는 장비와 인력을 최대한 가동하여 예방접종은 물론 소독 등 방역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또한 종돈 농장에 대한 방역관리에 관계기관은 철저를 기해야 한다. 이번 콜레라 발생 돼지가 지난 해 돼지 콜레라가 발생했던 김포의 모축산농장으로로부터 분양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종돈 농장에 대한 철저한 방역관리가 새삼 문제가 되고 있다. 방역관리를 제대로 하였다면 사전에 충분히 예방할 수 있었던 것이다.
돼지 콜레라 발생 축산 농가는 물론이고 콜레라 발생으로 돼지 수요가 급감하여 피해를 당하고 있는 축산농가에 대한 보상 및 피해대책 마련이 또한 있어야 한다. 최근 축산 농가들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돼지 콜레라까지 겹쳐 생계까지 위협받고 있다. 농림부나 지자체는 이들 축산농가들의 어려움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각종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기를 요망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