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전교조 모임의 참여 교사에 대한 후속 조치가 새 쟁점이 됐다. 참여 교사들은 연가를 내세웠으나 법규를 위반했다고 보는 것이 교육청 당국의 판단이다. 교육행정정보시스템 중단, 교육개방 반대, 이라크전 파병계획 철회 요구 등이 전교조 모임의 내용이었다. 이런 것을 이유로 수백명의 교사가 학생들에 대해 수업을 외면하는 게 과연 합당한 것인지 의문이다.
마음 내키잖은 일은 그나마 폄훼하며 극한 투쟁을 일삼아도 된다고 보는 권능은 어느 교원단체에도 없다. 학부모들 역시 불안해 한다. 폭넓은 시민 교양의 축적장이 돼야할 교실이 편협된 의식화 교육장으로 변질되는 것은 심히 당치않다. 예컨대 파병 문제만 해도 살벌하다. ‘오늘 뿌려진 이라크 민중의 피는 내일 우리 민족의 죽음을 예고하고 있다’라는 대목이 공동수업 자료집에 있다. 논리의 비약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만이 아니다. 무슨 퀴즈 문답 등은 저주로 가득차 있다. 도저히 수업 자료로 가당치 않은 것 투성이다.
반전의 생각은 그런 생각을 갖고 있는 전교조 사람들만의 것이 아니다. 사회에도 상당한 반전의 정서가 깔려있다. 하지만 반전을 지지하는 사람도 자신의 자녀가 학교에서 그런 식으로 교사에 의해 의식화되는 것을 바랄 사람은 아마 별로 있을 것 같지 않다. 교실은 교사 개인의 것이 아니다. 교육은 소정의 교과와 단원에 의해 이행된다. 도대체 교원단체가 왜 이런 것 저런 것을 다 투쟁 대상으로 삼아야 하는 건지 그 이유를 알 수 없다. 학생을 볼모로 하는 학교밖 장외에 왜 휩쓸려야 하는 건지 도시 그 까닭을 알 수 없다.
참교육을 말하면서 이러 하다면 그 실체가 무엇인지 다시 생각지 않을 수 없다. 이번에 보인 모습은 참으로 유감이다. 교육청이 규정과 지침에 따라 관련 교사들을 징계하고자 한다면 이를 말릴 수 없는 게 유감이 아닐 수 없다. 다만 후속 조치의 충격을 가능한한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이다. 이 과정에서 교육청과 전교조간의 갈등을 예상은 하지만 크게 악화되지 않아야 할 책임이 또한 보다 전교조측에 있다. 우려스런 게 이 점이긴 하지만 잘 극복되어야 한다. 그리고 더는 이같은 불편한 관계가 되풀이 되지 않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갖는 것은 우리 모두를 위해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