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남북지자체간 교류협력이 가장 필요한 지역임은 지리적 여건상으로도 그러하다. 대북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조건도 마찬가지다.
최근 경기개발연구원(KRI)이 개최한 남북교류협력토론회에서 경기도가 남북교류 최적지라는 사실이 재확인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토론회에서
통일연구원 김학성 연구위원은 ‘남북지방자치단체 교류·협력사업 추진방안’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개성공단 개발, 경의선·경원선 철도 및 도로의 복원, 임진강 수계 공동관리 등은 남북한 정부차원의 교류·협력사업이지만 경기도의 고유이익으로 창출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매우 시의적절한 주장이다.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북 사업은 모두 남북 접경지역인 경기도의 산업기반 및 지역경제 발전과 관계를 맺고 있음에도 중앙정부 차원에서만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게 될 경우에 대비해 중앙정부와 긴밀한 협의 채널을 확보하는 한편 재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 일정규모의 대북사업을 독자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남북 접경지역인 경기도가 분단으로 인해 발전역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남북교류 활성화 과정에서 가장 큰 혜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의 독자적 개발사업은 개성공단 개발, 경의선·경원선 철도 및 도로 복원 등으로 생겨나는 새로운 환경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예컨대 도민의 참여와 공감대 속에 이루어지는 물적 교류, 문화예술, 체육·관광·학술 등의 사회문화적 사업을 통한 인적 교류 병행을 비롯, 국가차원의 사업과 연관된 도 차원의 경제교류 협력 사업 추진, 그리고 북한의 일정지역과 자매결연 또는 우호협력 관계를 맺는 것이다. 개성 등은 과거 경기도 지역이었던 만큼 대북교류 사업 파트너 KRI가 이미 연구 조사한 황해북도가 적합하다고 본다. 평양·남포시와 경계를 두고 있고 인구가 북한내에서 가장 조밀해 경기도와 유사한 측면을 지니고 있어서다.
남북교류 기금을 확보해 놓고 있는 등 재정규모나 기업여건 등을 고려할 때 경기도는 남북교류의 최적지이다. 앞으로 경기도가 남북화해와 교류에 아무쪼록 교량 역할을 하기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