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뻔한’ 시민의 날

지난 1일 김포시민의 날 행사가 막을 내렸다.

행사를 앞두고 공무원들 사이에선 경기 침체와 이라크전쟁, 돼지 콜레라 발병 등을 감안해 행사를 미뤄야 하는 게 아니냐는 문제를 놓고 논란이 벌어졌었다.

시는 행사가 끝난 뒤 참가한 주민이 5천명을 넘고 주민화합을 이루는 계기가 됐다고 자평했다.

하지만 문제는 하루 행사에 쓰여지는 예산과 동원된 인력, 행정력 등이다.

격년제로 체육대회와 함께 열리는 이 행사는 규모가 가장 크다.

이때문에 시는 보통 2개월 전부터 준비에 들어가고 각 동·면에는 각각 2천만원, 본청은 5천만원이 행사비로 지원된다.

올해도 행사가 열리기 몇달 전부터 이미 각 동·면이 준비에 들어갔고 시는 1억원8천만원을 동·면에 지원했다.

동·면에 지원되는 예산 대부분은 각 200~300명이 넘는 선수와 임원, 응원단의 유니폼과 소품 등의 구입비와 식대 등으로 지출된다.

김동식 시장은 시장 취임 후 ‘개혁’을 외쳤다.

그러나 김포시민의 날 행사를 지켜본 많은 주민들은 달라진 게 없다고 입을 모우고 있다.

시민의 날 행사가 씁쓸함과 허전함만 남기는 소모성 행사로 끝나야 할 때는 지났다.

체육대회 등을 포함한 모든 이벤트는 미래를 보여 주고 계획할 수 있는 행사로 전환돼야 한다.

그렇지 않고선 지방자치가 실시된지 10년이 지났는데도 아직도 권위주의시대의 구각(舊殼)에서 벗어 나지 못했다는 비난을 면하지 어렵기 때문이다.

/권 용 국 (제2사회부·김포)

ykkwun@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