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그다드 함락으로 이라크 전쟁이 끝내기에 들어갔다. 본란이 당초 밝힌대로 조기에 종전되는 것은 전쟁의 성격이 어떻든 매우 반갑다. 부시의 침략이 결국은 긍정적으로 용인되는덴 초강대국의 현실적 힘의 영향도 크지만 후세인 정권의 타락상 또한 크게 연유한다. 반전 평화운동은 전쟁 수단의 부도덕성을 규탄한 것이지 후세인 독재를 옹호한 것은 아니다.
공화국 수비대가 연합군의 진군에 탱크와 총포를 내동댕이 치고 군복까지 벗어 던지며 바그다드를 탈출했다. 이는 24년의 철권정치가 막강한 것 같아도 기실 독재의 민심 이반이 얼마나 허무한가를 말해준다. 북부지역의 유전확보가 과제인 가운데 세계 2위의 매장량을 자랑하는 이라크 석유 사업권 쟁탈이 예견된다. 미국은 복구비 명목으로 독식을 노리고 있으나 프랑스, 러시아, 중국 등 또한 이미 따낸 개발권의 기득권이 있어 만만치가 않다.
후세인을 비롯한 지도부 체포, 잔당 세력의 완전해체 등엔 물론 가변적 요인이 남아있다. 하지만 어떻든 후세인 독재정권은 붕괴되고 새로운 친미 정권의 이라크 정부가 들어서는 것은 정해진 수순이다. 독재의 공포와 최면에서 벗어난 이라크 국민들 대다수가 후세인 대신 부시를 칭송하는 역설적 해학성은 민주화의 욕구로 보아진다. 그러나 대량살상 무기를 발견치 못하고 있는 것은 여전히 부시의 큰 부담으로 남는다.
이런 저런 대외적 사정과 함께 무엇보다 더 큰 우리의 관심사는 이라크 전쟁의 종전을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점이다. 우선 공병부대 및 의료진의 파병이 전쟁 종식 이후에 있게돼 다행이다. 전후 복구사업 참여에도 정부는 총력을 기울여야 할 단계다. 기업들은 투자 재개의 고비로 삼고, 소비 심리가 조금씩 살아 나면서 경기 회복이 기대되어 예컨대 가계대출 및 신용카드 사태같은 것도 최악의 상황은 모면할 것으로 전망된다.
북 핵 문제의 접근은 가장 중차대한 민족의 명운이다. 부시 행정부가 최근 평화적 해결을 재차 강조한 것은 눈 여겨볼만 하다. 북 핵 문제는 이라크 문제와 다르게 보는 인식이 거듭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의 구체적 해법은 노무현 대통령의 방미기간 중 갖는 두 나라 정상회담에서 도출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라크 전쟁의 조기 종전은 불행 중 다행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