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이젠 달라져야

우리는 전교조가 교단의 활력이 되지 못하고 부담이 되고 있는 것에 애석함을 금치 못한다. 충남 예산서 생긴 한 초등학교 교장의 자살 사건으로 인해 논란이 되고 있으나 전교조에 대한 부담은 평소에도 있어온데 문제의 본질이 있다. 주요 교육현안의 논쟁에 의견을 표출하는 것은 환영할 일이나 이분법적 논리로 상대의 생각에 사사건건 이념화 대립을 일삼는 것은 온당치 않다.

전교조의 정치성 투쟁 지향은 많은 학부모들의 심한 우려를 낳기에 이르렀다. 교육논쟁은 교육의 실질 수요자인 학생들 입장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에 충실했다고 하기엔 의문의 여지가 적잖다는 것이 우리의 판단이다. 예컨대 중학교 도덕 수업시간에 굳이 한미행협(SOFA)을 말하면서 미군이 살해한 한국 여인의 시신 사진을 보여주는 것 등은 의식화 주입이지 교육이 아니다. 이를 제지한 교장에게 반발하는 것 또한 당치 않다.

얼마전 교육부서 가진 전국 시도교육감회의에서 학교장에 대한 교권 도전행위에 대책을 촉구한 것을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 매우 유감이다. 모르지 않는다. 전교조가 있었으므로 하여 교장의 전횡이 견제되는 등 그간 학원의 민주화에 기여한 사실을 인정한다. 그러나 전교조의 전횡 역시 안된다. 전교조 조직이 존중받기 위해서는 교육의 공조직 등을 먼저 존중해야 한다. 전교조가 합법화 된지도 벌써 4년째다. 이제는 좀 더 성숙된 새로운 국면을 보여줄 때가 되었다. 전교조는 막강하다. 비합법 단체일 때처럼 애써 무리한 힘을 과시하지 않아도 능히 인식한다.

‘비합법시대의 어려웠던 조건 속에서 어쩔 수 없이 표출됐던 상대적 과격성, 급진성 등을 말끔히 걷어 내겠다”고 했다. 1999년 교원노조법안이 통과되고 나서 전교조가 기자회견서 밝힌 입장이었다. 그러면서 ‘다소 무례했던 행동, 과격했던 행동에 대해서는 반성하면서 새로운 합법시대에 대응하겠다’고 했다. 그런데도 비합법 단체로 약 10년에 걸쳤던 간곤한 투쟁시절의 양상을 합법단체가 되고 나서도 아직 벗어 던지지 못하고 있는 것은 참으로 불행하다. 이젠 달라져야 한다. 교육의 활력소가 되고 학부모의 신뢰를 받는 그런 새 지도 노선을 고대하는 것은 비단 우리만의 바람이 아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