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의 인권 표결에 불참한 지난 일과 한국이 빠진 3자회담을 앞두고 이를 탓하는 논의가 분분하다.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틀린 말이 아니라고 해서 자꾸 되풀이하여 유익할 것은 없다. 행여 외교안보문제를 정쟁화해서는 더욱 좋지않다. 중국을 통한 외교경로로 어렵게 나온 것이 북의 다자회담 수용이다.
다자회담이 4자회담이나 6자회담이 아니고 3자회담에 그친 것은 유감이긴 하다.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서는 형태가 어떻든 우선 북·미를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는 일이다. 형태를 문제 삼아 회담이 지연되거나 회담 자체가 불발되는 지경이 되어선 더 나을 게 없다. 또 3자회담에 이어 4자회담도 되고 6자회담도 있을 수가 있다. 모양새가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베이징 회담에 기대를 갖는 것은 결과가 더 중요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인권문제 표결 불참도 그렇다. 북의 인권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가뜩이나 핵 문제로 예민하게 대치된 상황에서 EU(유럽연합)가 제기했다 하여 새삼 우리까지 자극하는 게 과연 유익한 가를 고려한 것이라면 이유가 된다고 믿는다. 지금은 북의 인권문제가 시급하기 보다는 핵 문제가 더욱 시급하며 일에는 순서를 밟는 것이 순리다. 핵 문제의 선행조건이 해결되지 않고는 그 아무것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북측에 따지기로 하면 어찌 인권문제 뿐이겠는가. 참으로 많지만 아직은 그럴 단계가 아니다.
그러나 북측이 3자회담을 고집해놓고 쌀과 비료를 달라는데 대해 쌀 지원은 10차 장관급회담과 경협에서 조절키로 한 것은 적절한 조치다. 또 북핵 지원도 앞으로 계속 참여가 배제돼서는 않기로 입장 정리를 한 것도 잘한 일이다. 현안 해결을 하는 과정에서 비판도 나와야 하는 것은 맞다. 그러나 감정 대응은 도움이 안된다. 다자회담의 길은 순탄치는 않겠지만 공연한 부정적 예단을 앞세워 힐난하기 보다는 의연하게 지켜 볼 줄도 알아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