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스 의심환자 믿어도 되나

국내에는 아직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환자가 없다고 하니 반가운 소식이긴 하다. 당국의 발표에 의하면 중국, 홍콩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사스 환자가 발생하여 학교를 휴교하고 심지어 환자가 발생한 아파트 출입을 통제하는 등 비상대책에 야단인데, 한국은 사스 의심환자는 7명이 되지만 정식으로 사스 환자로 판정된 경우는 없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공식 발표다.

그러나 각국에서 계속 증가하는 사스 환자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사스 의심환자만 있다고 하는 보건당국의 발표에 국민들은 다소 불안한 느낌이다. 그 동안 보건당국이 철저한 방역대책을 실시하고 또한 국민들 각자가 위생문제에 최선을 다하여 아직까지 국내에 사스환자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하면 이는 참으로 다행이다. 그러나 최근 당국의 사스 의심환자 발표과정이나 또한 의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하면 과연 사스 의심환자만 발표하는 당국의 판정을 그대로 믿어야될지 염려가 된다.

알려진 바로는 사스 환자 판정을 돕기 위하여 보건당국이 구성한 자문위원회가 있는데, 최근 자문위원 일부가 당국의 사스환자 판정 기준에 문제를 제기하여 탈퇴하였다고 한다. 이들 자문위원들은 보건당국이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정하여 환자 판정을 하기를 요구하고 있어 탈퇴한 것이라고 한다. 자문위원들은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지 못해 격리나 방역 기회를 놓칠 수가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중국은 사스 환자를 축소·보고한 혐의로 위생부장과 북경시장을 해임하였다. 중국은 또 대학을 비롯한 학교들이 휴교를 하고 심지어 인구 이동을 막기 위하여 노동절 휴무를 취소했을 정도로 사스환자 대책에 골몰하고 있다. 홍콩은 행정장관이 직접 마스크를 쓰고 시내 대청소를 하고 있을 정도이다.

국내에 사스 환자가 없는 것은 반가운 일이나 혹시 당국이 판정 기준을 낮추어 축소하는 것은 아니기를 바란다. 사스 환자가 있으면 당국은 즉시 발표하여 방역대책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의심 환자도 계속 관찰하여야 하며 혹시라도 환자로 판명되면 은폐하지 말고 즉각 발표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