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 명칭을 ‘평택·당진항’으로 바꿔야 한다는 해양수산부 합동조사위원회의 연구 결과 제시는 당치않은 건의다. 이러한 명명(命名)은 여러 부두나 군소항만을 하나로 묶어 ‘브랜드파워’를 강화하는 세계적인 추세에도 역행하는 처사다.
‘평택·당진항’ 얘기는 지난 22일 해수부 합동조사위원회가 평택시청 상황실에서 평택시장·평택항발전협의회 등 많은 시민단체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 ‘평택항 명칭 및 항계조정에 관한 연구조사 내용 보고 및 의견 청취 워크숍’에서 나왔다고 한다.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간 항만 이용자 및 항만전문가 총 23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나온 ‘항만분리 불가’ 는 물론 당연하다. 만일 당진과 항만이 분리된다면 항만의 집중력 감속 및 항세가 약화될 뿐 아니라 특히 유사여건의 지자체간 갈등이 유발되고 운영관리비 중복에 따른 경쟁력이 저하될 게 자명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2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현재명칭 사용 (32.6 %)’과 ‘평택항·당진항 분리지정(19.1 %)’보다 ‘평택항·당진항 통합 명칭사용(37.1 %)’ 의견이 다소 높았다고 하여 해수부가 ‘평택·당진항’ 명칭 사용을 제시한 것은 성급하다.
이유는 간단하다. 17년동안 사용한 평택항 명칭을 하루 아침에 갑자기 바꾸는 일도 있을 수 없지만, 250만 충남도민과 14만 당진군민의 민의 보다 1천만 경기도민과 36만 평택시민의 민의가 더욱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부산신항, 광양항과 함께 3대 국책항만으로 출발한 평택항이 지방항으로 전락되어서도 안된다.
지금 그렇지 않아도 평택항분리 결사반대 범시민투쟁위원회 등이 당진군의 거듭된 평택항 분리요구에 반발, 지난해 연말 있었던 대규모 상경시위집회를 또 다시 준비를 하고 있는 터에 통합명칭 사용 제시는 불에 기름을 붓는 격이다. 더구나 평택항은 머지 않아 지방해양수산청 신설이 유력시되는 항만이다. 전국 물동량의 53% 이상을 점유하는 수도권 및 중부권을 배후로 하는 수출업화물의 전진기지다.
국제항의 명칭을 함부로 고치는 것은 또한 대외신인도와도 관련된다. 당진과의 분리 반대는 물론 평택항이라는 지금의 명칭은 마땅히 계속 사용돼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