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복선화 사업이 주민반발·지자체와의 협의지연 등으로 공기가 지연되는 작금의 사태는 결국 혈세를 내는 국민이 고통을 당하는 것이다. 수도권 교통난 해소는 커녕 크고 작은 마찰로 오히려 혼란만 가중시켜 그야말로 답답하기 짝이 없다. 수도권의 5개 철도노선 복선 전철화 사업이 주춤거리는 모습은 공분마저 일게 한다.
우선 지난 1996년 착공한 용산∼파주 문산간 복선전철화 사업은 당초 내년 완공예정이었다. 그러나 해당 지자체들이 사업비 납부를 늦추고 있는 데다 고양지역 주민들이 시가지 통과구간에 대해 지하화를 요구하며 반발하고 있어 2008년으로 공사시기가 늦춰졌다.
지난해 말 개통예정이던 청량리∼남양주 덕소 구간 복선전철화 사업과 2001년 개통 예정이던 의정부∼동두천 동안역간 복선전철화 사업도 인·허가 협의 지연과 시설 개선 요구 등에 대한 협의가 늦어지면서 각각 2∼4년 공사가 연장됐다.
선형변경에 따른 재설계와 기존 운행선로 변경공사 등으로 8년이나 늦게 내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중인 서울 구로∼인천간 경인2복선 전철화 사업도 그렇고 , 지자체 요구에 따른 추가 시설물 설치와 열차 안전 확보 등으로 늦어진 수원∼천안간 복선전철화 사업도 당초에서 5년을 연장했다.
이렇게 미흡한 당국의 계획과 주민 반발, 지자체 협의 지연 등으로 사업차질을 빚어 사업비가 무려 1조7천833억원이나 늘어나는 등 각종 폐해를 유발시키고 있는데도 건설교통부와 철도청 등 정부당국은 공사차질 요인을 수습할 이렇다 할 종합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소음·분진 등 주거환경 오염을 염려하는 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의 강력한 주장때문인 것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그렇다고 철도사업은 지역주민과 지자체 협조 없이는 아무런 진척을 거둘 수 없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으니 향후가 실로 난감하다.
지상·지하통과 확정 등 착공전 완벽한 설계를 하지 못한 것은 이미 엎질러진 물이라 하더라도 철도청과 해당 지자체가 공기만 연장하는 것은 더욱 무책임한 일이다. 부디 적극적인 공조와 민원대처를 통해 더 이상의 폐해발생이 없도록 행정력을 발휘하기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