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동 행정타운, 그 문제점

경기도와 수원시가 발표한 340만평 규모의 이의동 행정타운 구상은 신분당선 연결을 전제하고 있다. 그간 지적돼온 교통대란 타개책으로 적절하긴 하다. 하나, 의문이 있다. 행정타운 건설을 2005년에 착공하여 완공하는 2010년까지 신분당선을 용인수지~이의동을 거쳐 수원역까지 연장하는 게 과연 계획대로 가능하느냐는 것이다. 같은 교통대책에 속하는 제2의왕고속화도로 등은 도 자체가 추진하므로 능히 가능할 것으로 안다. 하지만 신분당선 연장은 사업 주체에 상대가 있다. 그렇지 않아도 광역교통망사업이 지지부진하다. 신분당선 연장의 가시화가 담보되는 추가조치가 요구된다.

행정타운의 자족도시화란 게 주택 건설에 치우친 것도 문제다. 아무리 복합도시라 하여도 주거기능이 54만5천평이나 되어 2만가구의 주택을 건설하는 것은 무리다. 행정타운이 아닌 주거용 신도시 건설로 보여 주객이 뒤바뀐 감조차 없지않다. 이로 인해 광교산 인접 개발지역에 까지 연립주택 등을 짓게 하는 것은 친환경정책일 수 없다. 친환경 조성을 내세우면서 개발예정지에 40층짜리 초고층 아파트를 세우는 경관 침해는 자가당착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자연환경은 한번 파괴되면 복원이 불가능하다. 환경을 파괴해놓고 주변을 인공 조경하는 눈가림이 친환경 사업은 아니다. 자연환경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 친환경 사업이다. 주거기능의 확대보다는 65만5천평의 공공시설 부지 외에 비즈니스중심기능, 지식기반집적기능, 공원녹지 면적 등을 더 늘리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

이의동은 수원에서 이제 몇군데 남지않은 개발가능 지역 중 환경문제가 가장 예민한 곳이다. 이런 지역에 주거 인구만도 무려 5만~6만명이 예상되는 주택지를 조성하면 환경오염을 가중하는 난개발의 전철을 면하기 어렵다. 앞으로 건설될 행정타운 신도시의 관리기능도 미리 강구할 필요가 있다. 현대적 의미의 도시공간은 예술화하는 추세다. 이를 위해서는 공공건물이든 주택건물이든 모든 건축물 등은 물론이고 간판 등에 이르기까지 조형화해야 한다. 따라서 행정타운 신도시는 마땅히 도시설계지구로 지정하여 일정한 규범속에 조화있는 발전을 이룸으로써 기성도시 지역과 같은 난맥상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행정타운 조성의 대요는 인정하나, 문제점 등에 후회없는 면밀한 재검토가 있어야 할 것으로 믿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