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대란 더이상 없어야

포항, 마산 등에서 화물차들이 파업을 하여 해당 지역의 물류대란은 물론 그 여파가 전국 각지로 파급되면서 잘못하면 올 경제운영에 설상가상의 타격을 가져올 위기는 일단 중대 고비를 넘겼다. 전국운송하역노조가 지난 2일부터 계속해온 철강업체의 수송봉쇄를 7일 오후 푼 것은 다행스런 일이다. 이어 지부별로 임단협 등 협상을 계속하고 있어 원만한 타협점이 도출되기를 온 국민은 조심스럽게 기대하고 있다.

화물운송은 수출에 매달리는 우리 경제의 핵심분야중 하나다. 이번 물류대란을 국민들이 우려섞인 눈으로 지켜볼 수밖에 없었던 것도 이런 이유에서 비롯된다. 이를 의식한듯 수송봉쇄라는 극단적 행위에서 벗어나게된 것은 더없이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이미 상당한 피해가 발생했다. 철강업계의 하루 손실액은 200억원에 이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화물연대의 파업은 우리 경제에 엄청난 파괴력을 미칠수 밖에 없다. 포항, 마산, 당진 이외에도 경기·인천지역까지 여파가 미치고 파업의 양상도 과거와는 다른 모습이었다.

전국적 연대로 확산된 가운데 파업에 참가하지 않은 차량 출입을 통제하여 사실상 물류 수송을 가로막은 것은 우리몸의 혈류를 멈추게 한 것과 다를바 없다.

이런 상황임에도 정부가 초기에 특별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안일하게 대처한 것은 비난받아 마땅하다. 오죽하면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화물차 파업에 보고가 없다며 사태의 심각성을 직접 제기하면서 해당 장관들을 질책, 조속히 대책을 보고토록 지시했겠는가.

정부는 차후라도 화물운송이 제때 이루어지지 않으면 관련 사업에 대한 피해는 연쇄적이기 때문에 비상대책을 강구하여 최소한의 화물 수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철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동시에 정부는 노조와 대화를 통하여 강경일변도 보다는 파업 노동자들이 주장하는 열악한 노동조건 개선에 귀를 기울여 대화를 통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노동자들도 화물차 파업이 국가경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의 심각성을 깊이 고려하기 바란다. 정부의 친노동정책을 이런 식으로 유린하는 것은 노동계를 위해서도 유익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