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승의 은혜는 하늘 같아서/우러러 볼수록 높아만지네/참되거라 바르거라 가르쳐 주신/스승의 마음은 어버이시다”
‘스승의 날’ 역사는 195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충남 논산시 강경여고(현재 강경고) 청소년적십자 단원들은 5월8일 세계 적십자의 날을 맞아 병상에 있는 스승 진동만 교사와 퇴직 교사들을 위문하며 이 날을 ‘은사의 날’로 정했다. 이후 학생들은 5월8일 ‘은사의 날’마다 스승에게 꽃을 달아주고 기념행사를 갖는 전통을 만들었다.
이 사실이 충남지역에 퍼지면서 청소년적십자사 충남협의회는 1963년 9월21일을 ‘은사의 날’로 정해 도내 모든 단원들에게 이에 동참토록 했다. 이듬해 1964년 전주에서 열린 청소년적십자 중앙학생협의회에서 ‘은사의 날’을 ‘스승의 날’로 부르기로 하고 날짜도 5월26일로 바꾼뒤 ‘스승의 날’ 제정 취지문을 발표했다. 전국 규모의 첫 민간 스승의 날 행사가 열린 것이다.
날짜가 5월15일로 확정된 것은 1965년 부산에서 열린 제15차 청소년적십자 중앙학생협의회에서 였다. 이 협의회는 세종대왕 탄신일(1397년 5월15일)인 5월15일을 스승의 날로 정하고 전국 초중고 학생회장에게 제2회 스승의 날 기념식을 갖도록 호소문을 보냈다.
정부가 개입을 시작한 것은 1973년부터다. 유신 시절 학생집회 불허 방침에 따른 ‘서정쇄신’으로 ‘스승의 날’ 행사가 폐지됐다. 그러나 1982년 정부가 다시 부활키로 결정, 5월15일을 ‘정부 기념일’에서 ‘스승의 날’로 바꿨다. 요즘에는 스승의 날 선물에 ‘청탁성’이 짙다고 비판하는가 하면 스승의 날을 학년말인 2월로 옮기자는 운동도 벌어지고 있다.
“태산같이 무거운 스승의 사랑/떠나면은 잊기 쉬운 스승의 은혜/어디간들 언제인들 잊사오리까/마음을 길러주신 스승의 은혜//바다보다 더 깊은 스승의 사랑/갚을 길은 오직 하나 살아 생전에/가르치신 그 교훈 마음에 새겨/나라 위해 겨레 위해 일하오리다”강소천 작사, 권길상 작곡의 ‘스승의 은혜’다. 오늘은 스승의 날이다. 더도 말고‘스승의 은혜’ 노래 후렴만이라도 불러 보면 생각날 것이다.“아아 고마워라 스승의 사랑/아아 보답하리 스승의 은혜” /임병호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