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갯벌보호’는 전시행정인가

인천시가 지난해 11월 영종도와 영흥도 일대 갯벌을 ‘임시생태계 보전지역’으로 지정했을 때는 기대가 컸다. 인천국제공항 고속도로 및 영흥도 연륙교 개통에 따라 영종도와 영흥도를 찾는 관광객은 증가했으나 갯벌 무단 출입으로 어·패류가 급격히 감소하는 등 갯벌의 오염물질 자정작용 저하가 심각한 상태여서 관광객 출입금지와 각종 개발을 제한하는 임시생태계 보전지역 지정은 타당했다.

특히 2004년 말까지 임시생태보전 기간이 끝나면 2005년 1월부터는 생태보전지역으로 지정, 영구보전키로 발표, 더욱 큰 환영을 받았다. 하지만 현재 6개월이 지나도록 갯벌보전을 위한 후속대책이 나오지 않아 갯벌 훼손 및 생태계 파괴가 심히 우려된다.

인천시가 갯벌 출입 이용객들의 출입을 강력히 제한하는 임시생태보전 대상지역은 영종도 남단 공유수면(해수욕장 제외) 29.5㎢(2천950㏊)와 옹진군 영흥도 공유수면(해수욕장 제외) 16㎢(1천600㏊)등 모두 45.5㎢이다.

갯벌보전을 위해 지난 1월부터 출입을 금지키로 하고 주민들에겐 한정면허(어·패류 채취권)를 부여, 갯벌감시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관광객 등의 출입을 막기 위해 안내판 설치와 갯벌체험장 조성을 추진키로 했다. 그러나 이같은 보전대책이 지연되거나 실행되지 않고 있다.

주민들에게 발급키로 했던 한정면허의 경우, 지난 3일에야 허가권자인 중구와 옹진군 등에 승인을 내줘 해당 지자체가 어촌계로부터 신청서를 받아 주민들에게 한정면허를 발급하기 까지 2개월이나 소요된다.

관광객 증가에 따라 영종·영흥도 갯벌 45.5㎢에 추가 설치키로 한 출입제한 안내판과 3.5㎞에 이르는 부이(해상에 띄우는 라인)도 국고보조금 9천979여만원을 지원받지 못해 설치가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갯벌이 육지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바다를 살린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 각종 어·패류 등 바다 동·식물의 서식지이기도 하여‘논이 쇳덩어리라면 갯벌은 금덩어리’라고 한다. 그만큼 갯벌은 소중한 자연의 보고다.

인천시 당국은 “최대한 빠른 시일내 조치를 취하겠다”는 원론적인 답변만 하지 말고 한정면허 조기발급 등 갯벌보호 대책을 역동적으로 시행하기 바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