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교산의 아침/이대로 '평택항' 이름 뺏길건가

‘평택항’ 명칭문제를 5월중으로 결론지을 것으로 알려진 해양수산부 방침에 이미 보도된 합동조사위의 ‘평택·당진항’절충안이 채택될 공산이 높은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충남 당진군측이 당초 요구한 ‘평택항’분리의 주장이 뜻을 이루지 못한 대안으로 제시된 명칭 절충의 ‘평택·당진항’안은 참으로 황당하다.

1986년 12월 5일 국제무역항으로 문을 연 ‘평택항’은 이미 지구촌 해양물류에 그 이름이 각인된 세계적 공식 명칭이다. 그런데도 17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 국제항의 고유 명칭을 새삼스럽게 변경하는 것은 위상을 떨어뜨리고 또 혼란을 일으킬 우려가 다분하다.

‘평택항’의 구조로 보아도 명칭 절충은 이유가 될수 없다. 평택쪽에 3천810m 규모의 무역항 선좌가 있는데 비해 당진엔 겨우 880m 선좌인데 그나마 기능이 부곡공단 원자재 하역을 위한 전용부두에 불과하다. 인천항·부산항과 함께 가는 평택항이 고작 공단 전용부두 수준에 머문 부분이 당진땅에 물렸다해서 국제항의 이름을 바꾸는것은 형평에 어긋난다.

이에 평택시 발전협의회등 여러 시민단체가 정치논리에 치우친 줏대없는 해양수산부 처사를 지탄하고 나선것은 당연하다.

항만의 브랜드 파워를 강화하는 세계적 추세에 역행한 평택항 분리 논의에 이어 이젠 명칭을 바꾸려는것은 순전히 지역 이기에 영합하는 것이라는게 이들 시민단체의 지적이다. ‘평택항’은 법규에 의한 공식명칭인데도 그간 정부의 문서에는 ‘평택(아산)항’으로 표기한 편법을 써온것만 보아도 알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당진쪽에서는 가당치않은 주장을 제기하여 마침내 절충안 명칭으로 변경될 지경에 이르도록 지역사회가 힘써온 판에 평택에서는 도대체 뭘 했느냐는 데에 있다. 평택시는 말할것 없고 평택 출신 국회의원등 정치권에서도 팔짱만 끼고 있다가 ‘평택항’ 이름을 빼앗길 형편이 됐는데도 불구하고 무심해 하고 있다며 시민단체들은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평택시와 정치권이 처음부터 적극 대처하지 못한 결과에 시민단체들이 해양수산부에 항의하고 나서는 등 사태 만회에 안간힘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이엔 역시 한계점이 있어 고군분투하고 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시민단체의 고독한 투쟁에 힘을 실어주어야할 사람들이 방관만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평택시는 아예 관심조차 없는듯이 무대책으로 일관하고 정치권은 저마다 당내 입지에만 신경을 쓸뿐 누구하나 거들고 나선 이가 하나가 없다.

평택뿐만이 아니다. ‘평택항’을 ‘평택·당진항’으로 빼앗기는 부당함은 또 비단 평택만의 일이 아니다. 마땅히 경기도 차원의 거도적 관심사가 돼야하는데도 그같은 기미 또한 전혀 보이지 않는다. 웅도를 자랑하는 경기도가 당치않은 지역 이기로 ‘평택항’ 이름을 충청남도에 빼앗길 판인데도 보고만 있는것은 이 역시 이해가 안된다는 것이 많은 평택시민들의 의문이다.

5월도 얼마 남지 않았다. “설마”하다가 해양수산부의 최종 결정이 난뒤엔 이미 때가 늦다. 정당한 자기 이름 하나 지역사회가 지키지 못하고 빼앗긴데서야 말이 아니다. 지금부터라도 발벗고 나서야 한다.

평택시는 더 말할것 없고 경기도 역시 ‘평택항’명칭 지키기에 앞장서야 한다. 도내출신 국회의원등 정치권에서도 마땅히 나서야 하는 것이다.

/이수영.남부권 취재본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