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26일에 있었던 일이다. 민주당 김홍일(金弘一) 의원이 국회 본회의장에 입장하다 바닥에 무릎을 꿇었다. 김대중(DJ) 전 대통령이 퇴임한 지 불과 이틀만의 일이었다. 평소 걸음걸이가 불편한 그는 오후 2시 민주당 의원총회 참석을 위해 수행원 2명의 부축을 받으며 입장했다. 하지만 의총이 끝나고 맞은편 본회의장으로 이동할 때는 혼자였다. 아슬아슬하게 몇발자국 발걸음을 떼던 그가 갑자기 쓰러지듯 앞서가던 2명의 동료의원 등을 짚었다. 왼쪽은 이○○, 오른쪽은 설○○의원이었다.
김의원은 나름대로 반가움을 표시하려는 제스처를 보였다. 하지만 이·설 두 의원은 표정이 굳어졌다. 별다른 부축을 할 기색도 보이지 않았다.
그는 두 의원의 팔에 매달리다시피 5m 정도 끌려가다 결국 힘이 빠져 스르르 바닥에 무릎을 꿇고 말았다. 그 순간 뒤에 있던 수행원 2명이 와서 부축했다. 그러나 두 의원은 곧바로 뒤도 돌아보지 않고 본회의장으로 들어갔다.
때마침 곁을 스쳐 지나가는 민주당 의원들이 여럿 있었지만 힘들게 바닥에서 일어서는 김의원을 부축하거나 눈 여겨 보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김홍일 의원에겐 신체장애가 있다. 우선 오래 걷기가 힘들다. 자주 넘어진다. 발음도 부정확하다. 열 마디를 하면 반정도 알아 들을 수 있다. 3년 전인가, 목포에서 열린 전국예총지도자대회 때 김의원이 한 환영사는 잘 들리지 않았다.
그의 병명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본인에게 물어봐도 대답을 안한다. 주변 사람들은 군사정권이 가한 고문 후유증이라고 한다. 1980년 광주항쟁 당시 그는 옥중에서 자살을 기도했다. 조사실 책상에 올라가 그대로 바닥에 머리를 받으며 뛰어 내렸다. 그러나 죽지 않고 살았다. 대신 목을 크게 다쳤다. 그로부터 15년 뒤 그의 몸엔 이 같은 변화가 찾아왔다.
김의원은 두번이나 수술을 받았다. 1988년 첫 수술은 국내에서 받았다. 척추를 열고 신경을 손 대는 대수술이었다. 그러나 별차도가 없었다. 두번째 수술은 2002년초 미국 UCLA 대학에서 받았다. 4개월에 걸친 치료였다. “바늘구멍만큼씩 좋아지고 있어요” 부인 윤혜란씨의 말이다. 바늘구멍만큼씩 좋아지는 건강, 그것은 김홍일 의원을 지탱하는 유일한 희망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 김홍일 의원은 DJ의 아들로서 대접받았다. 그래서 사람들은 특히 정치인들은 그의 신체장애도 모른 척 해주었다. “건강해 보이십니다”는 그를 향한 인사였다. 그러다보니 그는 왕성한 정치활동을 하는 것처럼 세상에 비쳐졌다. 그것이 그를 각종 비리사건의 단골손님처럼 등장시킨 요인이 됐다.
2002년말부터 DJ의 후광이 김의원에게서 사라져 갔다. 우선 점심 약속이 거의 없다. 오전 11시를 넘겨 누군가에게 전화를 걸면 대부분 선약이 있다고 한다. 예전 같으면 만사를 제쳐 놓고 달려왔던 그들이다.
옛날 감옥에 있을 때 분노의 대상은 독재권력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대상이 다르다. 그래서 더 외로운 지 모른다.
이제 김의원은 그 말 많은 나라종금 퇴출저지 로비의혹에 연루돼 홍업. 홍걸 두 동생처럼 법정에 설 운명에 처했다. 이미 검찰에 소환된 적도 있다.
지난 6일자 일간지 K신문에 국회 본회의장에서 괴로운 표정의 김의원을 민주당 이낙연 의원이 위로하는 사진이 한 장 실렸다. 다른 의원들은 아마 외면했을 지 모른다.
김홍일, 그는 무엇이 괴로운 것일까. 야당 지도자의 아들로 태어난 과거? 대통령의 아들 신분으로 된 국회의원?
권력은 꿈과 같다. 깨고 나면 아무 것도 아닌 게 권력이다. 그러나 깨기 전엔 그 이치를 모르는 게 또 권력이다. 알았을 땐 이미 떠나가고 없는 게 권력이다. 한때 ‘황태자’였던 자신을 괄시하는 오늘날 염량세태를 원망하지 말라. ‘황태자 시절’도 빨리 잊어라.
/임병호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