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장갑차 점거, 누굴 위한 것인가?

한총련 학생들의 반미시위는 누굴 위한 건지 묻는다. 평화적 시위라면 또 모르겠다. 미군 훈련장을 기습 진입하여 장갑차를 점거하고 성조기를 불태우며 미군철수 구호를 외치는등 포천을 비롯, 곳곳서 벌인 과격성 불법 집단행동은 국가사회를 파괴한다.

북측이 부추기는 이른바 반미투쟁에 동조하는 것은 아닐 지라도 결과는 역시 같은 점에서 그같은 과격성이 결코 합당하다 할 수 없다. 미군은 이미 특수임무 등 상당한 소임을 국군에 이양하기로 했으며 미 2사단 한강 이남 재배치, 용산기지 이전 등을 기정사실화 하였다. 이만으로도 현재 GDP(국내총생산)의 2.7%인 국방예산을 내년엔 3.2%로 올려야 하는 증액부담을 안고 있다. 또 미군 재배치로 5천여명의 내국인 실업자가 양산될 지경에 놓였다.

대미시각이 용미(用美)가 아닌 반미시각에 치우치고 심지어는 친미시각을 이방시하는 반미편협증은 국가사회의 심각한 장애요인이 아닐 수 없다. 미군 스트라이커 부대의 국내 훈련을 북침 전쟁훈련으로까지 주장하는 데는 실로 황당하다. 한반도의 전쟁 재발을 원치 않는 것은 비단 한총련 뿐만이 아닌 국민적 염원의 관심사다. 이렇지만 스트라이커 부대 훈련을 북침훈련으로 보는 사회정서는 있지 않다. 현안의 북핵 문제에는 관대하면서 사회정서와 괴리된 억지 주장만을 거듭 일삼는 한총련의 저의가 오히려 무엇인지 의문이다.

반미시위 책동의 재점화를 기도하는 일련의 이번 미군 장갑차 등 점거사건은 한총련을 너그럽게 보고자 했던 생각을 재고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이적단체로 규정한 대법원 판결을 자꾸 떠올리게 하는 행태를 우정 자행하는 것은 참으로 불행한 현상이다. 남북간의 동족의식은 마땅히 가져야할 대상이지만 체제란 게 있다. 북측 주민은 민족애로 대할 수 있다. 그러나 자유민주주의가 아닌 북의 체제는 동의의 대상이 아니다. 다만 평화공존을 위한 교류협력이 있을 뿐이다. 한총련의 활동이 비록 북의 체제에 동조하는 게 아닌 동족애에 의한 것이라 할지라도 결과가 귀납되면 이유가 될 수 없음을 깊이 유념해야 한다. 동족애는 반미주의 구호의 독점물이 아니다.

이번 장갑차 점거 사태 관련자들에 대한 사법처리는 불가피하다고 보면서 추이를 주목하고자 한다. 더는 이런 불행한 일이 없기 바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