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의 현대사적 조명

오늘은 제58주년 광복절이다. 한일합병조약이 1910년8월22일 조인돼 그달 29일 공포 되므로써 시작된 일제 통치가 1945년 오늘 종식된 날이다. 조국 광복을 위하여 수많은 애국 선열들이 중국 대륙 등 이역에서 독립운동을 하다가 고혼이 되었다. 이름을 남긴 분들도 많지만 이름 없이 죽어간 분들이 비할 수 없을만큼 훨씬 더 많다. 광복된 지 이제 어언 반세기가 넘어 60년이 다 되어간다. 광복의 체험 세대보다는 기록과 구전으로 광복을 접촉하는 비체험 세대가 더 많고, 또 이들이 오늘의 국가사회 경영에 주축이 된 시점에서 광복의 참뜻이 뭣인가를 생각해 본다.

국력부강 민족자강의 소명이 광복절의 일깨움이다. 광복이후 처절한 세기사적 비극의 동족상잔인 6·25 전쟁을 치르고도 남북분단의 벽은 여전히 높다. 이로 인해 소련 붕괴 이후에도 한반도는 계속 이념의 냉전이 지속된 가운데 남북만이 아닌 남남 갈등의 요인까지 되고 있다.

아울러 이리 저레 분열된 내부사회는 사회통합을 거부한 채 저마다 목소리만 높이는 혼돈 속에 있다. 이의 책임이 정권에 있고 정치인에게도 있으며 사회인에게도 있긴 있다. 저마다 남의 탓으로 돌리지 않는 나의 탓으로 돌리면서 주변을 돌아 본다. 잠자는 사자이던 중국은 잠을 깨어 무섭게 치닫고 있다. 일본은 세계적 열강 수준의 재무장으로 평화헌법의 개헌을 서둘면서 복고주의 열풍이 강하게 불고 있다.

역사는 차원만 다르게 제자리로 돌아오곤하는 나선형으로 진전한다. 20세기 초반 현상의 한반도 주변 상황이 21세기 초반 들어 재현되고 있다. 중국은 이미 후진국이 아닌 무서운 수출경쟁의 상대국이다. 일본 정치인들의 잇딴 일제통치 망언은 지탄과 병행하여 감히 그같은 망언을 더 못할 정도의 국력을 우리가 시급히 배양하여야 한다.

남북관계는 통일이 절실한 겨례의 소망이지만 통일을 논하면 어떤 체제의 통일인가를 두고 충돌이 일어난다. 당장은 통일에 앞서 평화공존을 추구하는 것이 역사의 순리다. 국내적으로는 전향적 변화는 마땅히 환영할 일이나 자유민주주의의 국기를 뒤흔드는 법질서 파괴는 철저히 배제돼야 한다. 과거와 같은 부끄러운 역사를 후대에 물려주지 않기 위해서는 국력부강 민족자강의 나라로 만들어야 한다. 애국 선열들에 대한 보은의 길이 바로 이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