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행사 입장권 강매 철회하라

본란은 세계도자비엔날레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격려한 바가 있다. 그런데도 오늘 고언을 서슴지 않은 것은 이의 성공적 개최가 입장객의 강제 동원에 있는 건 아니라고 믿기 때문이다. 군중의 강제 동원은 버려야 할 개혁대상의 구시대적 악폐임은 부정될 수 없다. 이런 망령이 하필이면 지역사회에서 되살아나 공공연하게 횡행하는 사실은 실로 안타깝다.

상당 수의 도시에서 각 동별로 약 300장의 입장권이 할당되어 관내 업체 등에 강매되고 있는 행정력 동원은 지금 어느 시대인가를 의심케 한다. 원래는 입장권이 6천원짜리다. 이를 단체구입을 하면 4천원으로 할인한다는 명목으로 팔고는 있다. 하지만 이에 떠밀려 사는 업체의 입장에서는 부득이 강매당하는 거나 다름이 없다.

이만이 아니다. 행사 기간동안 구청에서 관광버스를 대절하여 강매된 입장권의 입장객을 현지 수송할 것이라고 한다. 이에 동원될 관광버스가 부지기수다. 대절료는 자치단체의 예산으로 나가며 그 액수 또한 막대할 것이다. 자치단체 예산은 지역주민의 세부담이다. 돈을 이런 데 쓰라고 지역주민이 세금을 낸 것은 아니다.

문제는 또 있다. 입장권을 강매당한 업체에선 표만 사주고 관람은 그만 두고 싶어도 그럴 수 없는 입장이다. 버스 동원에 응하지 않으면 협조하지 않는다는 말을 듣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그 많은 동원 인원이 주말에만 다 수송된다고 볼 수는 없다. 이 때문에 멀쩡한 평일 하루의 인력을 강제 구경에 빼앗겨, 돈 주어가며 인력 손실을 당해야 하는 것이 입장권을 강매당한 업체의 딱한 처지다.

민선 자치행정의 투명성은 관선 자치행정과 구별되는 최대 덕목이다. 어떻게 이같은 입장권 강매 행위가 자행될 수 있는 것인지, 그 경위가 참으로 의심스럽다. 동별로 할당된 것으로 미루어 이는 조직적인 것으로 보아진다. 구청위에 시청이 있으면 결국 시청위인 도청의 책임으로 돌아간다. 경기도가 만약 잘 모르는 일이라면 철저한 진상조사가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할당된 입장권 수가 얼마가 되든 간에 이미 팔린 것은 돈을 환불해서라도 즉각 회수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