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신도시, 환경보전에 신중을 기하라

김포지역은 세계적으로 4천여마리밖에 남지 않은 재두루미를 비롯, 흑두루미, 개리 등 희귀 철새들의 서식 경유지다. 서해안의 바닷물과 한강의 민물이 뒤섞이는 자연환경은 생태계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김포지역 한강 하구엔 황복, 참게, 뱀장어 등 수십종의 수서생물이 서식해 풍부한 먹이사슬을 형성하며 다양한 생물종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수리부엉이, 참매 등 10여종의 천연기념물이 살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희귀한 저어새 등이 겨울을 나고 있다. 김포지역은 시베리아에서 한반도·일본열도로 이동하는 두루미, 기러기 류 등 철새들의 주요 이동로이다.

특히 건설교통부가 신도시 예정지구로 지정해 주택 20만가구를 공급할 계획을 발표한 운양동, 장기동, 양촌면 일대 480만평은 천연기념물인 재두루미(203호), 개리(325호)의 도래지다. 건교부는 이같은 김포시 일대를 다음달 신도시개발예정지구로 지정하고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친 뒤 내년 말까지 개발계획을 수립, 2005년부터 토지 보상을 실시하고 2006년 신도시개발 계획을 확정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김포신도시 건설 사업을 추진 중인 한국토지공사는 “환경부의 2003년 겨울철 조류동시센서스와 문화재청의 천연기념물조류 월동실태 조사자료를 인용하고 조류전문가에 자문을 의뢰, 현지 조사를 통해 보완한 것”이라고 ‘사전환경성 검토자료’를 통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보다는 “고의로 축소했다”는 환경단체와 지역주민들의 의혹 제기에 설득력이 있다.

김포지역의 철새 서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철새가 도래하는 10월부터 다음해 3~4월까지 세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함에도 토지공사가 제시한 사전환경성 검토보고서에는 지난 8월10 ~ 12일 3일간만 조사한 것으로 돼 있다.

환경보전논리에 발목이 잡히는 것이 개발이긴 하지만 김포지역 신도시 건설은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인간과 자연이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없는 방식으로 개발을 계속한다면 결국 사람도 잘 살 수 없다. 개발계획 확정 과정에서 환경 보전 대책 마련을 당부하는 이유가 이에 있다. 한강 건너편에서 북한을 마주 보고 있는 접경지역, 또 강화도와 인접해 있는 서울 근교에 자연생태계가 유지되는 도시 하나 쯤은 남아 있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