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안 갯벌이 모두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갯벌의 중요성이 강조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만일 인천 연안의 갯벌이 사라진다면 환경오염으로 직결되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노릇이다.
인천 앞바다의 경우 3급수 수준을 간신히 유지하고 있는 상태인데 고유의 자정기능을 갖고 있는 갯벌이 사라지면 인천 앞바다로 유입되는 수도권의 막대한 생활하수, 축산 오수, 공장 폐수가 분해되지 않고 해안에 그대로 축적돼 바다를 더욱 오염시키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우리 나라를 찾는 철새들이 중간 기착지를 잃게돼 철새 생태계에도 커다란 재앙이 닥친다.
그러나 인천시는 송도 신도시가 경제자유구역에 포함되면서 이것 저것 고려할 시간이 없다는 식이다. 매립이 완료됐거나 진행중인 535만평 말고도 198만평에 이르는 동막 갯벌과 1천76만평의 송도 갯벌을 추가로 매립할 계획이다.강화도를 제외하고 인천 연안에 거의 유일하게 남아 있는 송도 갯벌은 많은 부분이 파괴됐음에도 검은머리갈매기, 저어새, 노랑부리백로 등 국제적인 멸종위기 조류가 서식·도래하는 지역이다. 아암도 해상공원이 위치한 209만평의 한진 갯벌도 내년부터 매립을 시작할 예정이다.
경제자유구역에 포함된 영종지구는 이미 인천국제공항 개발을 위해 1천400만평이 매립된 상태며 북항 건설을 위해 105만평의 매립공사가 진행중이어서 갯벌이 자취를 감추는 것은 그야말로 시간문제가 됐다.
인천이 동북아 비즈니스 물류의 중심지가 되겠다는 원대한 포부 속에는 이렇게 인천 연안의 막대한 갯벌의 희생이 전제돼 있다. 경제자유구역을 위한 개발 계획이 완료되면 인천연안의 갯벌은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된다.
문제는 환경의식이 부족한 인천시의 개발지상주의, 행정편의주의다. 갯벌 매립 계획만 해도 일단 일을 시작해 놓고 보자는 식이다. 다국적 기업들의 아태지역 본부가 싱가포르와 홍콩, 중국 상하이의 푸동지구로 옮겨가는 추세여서 인천이 이들 지역과 경쟁에서 이기리라는 보장은 아직 없다. 성공여부가 불확실한 사업을 위해 갯벌 등 자연환경을 먼저 파괴해서는 안된다. 경제자유구역을 진행시키면서 단계적으로 갯벌 매립 구역을 정해도 늦지 않는다.
인천시는 개발논리로만 경제자유구역을 확장하는 우를 범하지 말고 환경 피해 최소화에도 주력하기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