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성 식중독 관리당국 있어야

바이러스성에 의한 식중독이 급증, 국민보건에 비상이 걸렸다. 더구나 식중독 사고가 대형화할 뿐 아니라 원인을 찾지 못하는 사례가 늘어 심히 걱정스럽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 국회 보건위원회에 제출한 국감자료를 보면 원인불명 실태는 이미 위험수위에 이르렀다. 2001년 34.1%, 2002년 43.0%로 몇 년 사이에 10배 이상 증가했다. 식중독도 늘어나 지난 3월 서울과 경기지역에서만 환자수 1천433명의 초대형 식중독 사고가 발생했다. 오염된 음식을 먹어야만 감염되는 세균성 식중독과 달리 바이러스성은 감염자와의 접촉만으로도 감염될 수 있다. 지난 3월의 식중독 사고도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었다.

문제는 이처럼 바이러스성 식중독 사고가 대형화하고 원인을 찾기도 어려워지고 있지만 정부 기관 어느 곳에서도 바이러스성 식중독 사고를 관리하지 않고 있는 점이다. 바이러스성 식중독이 이토록 국가관리의 공백상태에 빠져 있는 상황을 가볍게 봐서는 안된다. 지금처럼 바이러스성 식중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정부 기관이 없고 당국이 무대책으로 일관한다면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도 막지 못하는 불상사를 자초하게 된다. 바이러스성 식중독을 체계적으로 전담하는 당국의 책임부서가 요구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