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호소 근로자 ‘급증’

목, 어깨 등이 아프거나 마비되는 장애나 직업성 요통 등을 앓는 근골격계 질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30일 노동부와 근로복지공단 수원지사 등에 따르면 올 상반기 동안 전국 근로자 중 신체에 부담을 주는 작업으로 인해 목, 어깨, 팔 부위가 저리고 아프거나 마비되는 등의 증상으로 업무상 질병 판정을 받은 근골격계 질환자는 1천56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876명에 비해 무려 693명(79.1%)이나 증가한 것이다.

이 가운데 목, 어깨 등의 장애로 업무상 질병 판정을 받은 근로자는 1천190명이고, 요통으로 업무상 질병 판정을 받은 근로자는 379명이다.

이처럼 근골격계 질환자가 급증한 것은 정보화 및 공정 자동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단순 반복 작업을 하는 근로자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한편 전체 산재근로자 수는 4만6천665명으로 지난해 3만8천838명보다 7천827명이 늘어났으며 산업재해율도 0.37% 높아졌다.

이에 대해 수원지사 관계자는 “신체에 부담을 주는 단순 반복작업으로 인한 근골격계가 산업재해로 인정된 근로자들이 크게 증가했다”며 “최근 사측과 노조가 근골격계 방지를 위한 협의기구를 구성한뒤 예방 및 진료를 전담할 의료센터를 세우는 등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전상천기자 junsch@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