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단합이 왜 강원도보다 못한가?

경기도와 마찬가지로 강원도 역시 분단의 땅이다. 경기도가 장단군을 비무장지대에 묻혀 둔 채, 개성시와 개풍군을 북녘 땅에 넘겨 준 것처럼 강원도 또한 같은 처지다. 강원도는 도청 소재지인 춘천에서 삼척까지 남북이 육백리 길이다. 동서로는 대관령을 사이에 두고 있다. 경기도의 남북 교통편보다 불편하기가 이루 더 말할 수가 없다. 경기도는 의정부시에 제2청사를 두고 있다. 강원도는 이보다 격이 낮은 출장소를 동해시에 두고있다.

이런데도 강원도에선 한번도 거론된 적이 없는 분도론이 경기도에서는 걸핏하면 나온다. 무슨 경기북도분도추진위원회란 것이 이 지역 출신의 국회의원들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소식은 참으로 민망하다. 경기도의 정체성과 정서를 유린하는 분도론이 그래도 북부지역 주민들에게 실익이 돌아 간다면 이해할 수 있겠다.

일반 주민들에게 분도가 안되어 불이익한 것이 도대체 뭐란 말인가. 흔히 민원 사무를 들지만 경기도 본청까지 진달하는 민원을 낼 주민이 연간 얼마나 될 것인 지 의아스럽다. 되레 주민 부담만 크게 가중시킨다. 도청을 운영하려면 통상 연 5천억원의 돈이 든다. 이는 인건비 등 경상비만으로 이밖에 도청·도의회 등 도단위 기관의 청사 신축비를 계상하면 이보다 더한 돈이 당장에 소요된다. 여기에 내년부터 지방의원이 유급화 하므로 이를 추가하면 연간 경상비는 훨씬 더 웃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통상비용 5천억원을 기준해도 북부지역 250만 주민 1인당 20만원이 돌아가 가구당 보통 60만원의 추가 부담을 떠 안는다. 분도가 되면 도단위 관변단체장이나 노리는 특수계층이 아닌 일반 주민들에게는 실로 유해무익한 것이 분도론이다. 이런데도 일부 국회의원들이 자신들의 내년 총선을 겨냥하여 분도론의 감각적 호응을 자극하는 것은 참으로 무책임하다. 그들이 과연 접경지역개발 등 북부지역 발전을 위해 그간 얼마나 노력했는 지를 묻고 싶다.

분도론은 시기상조가 아니라 영원히 있어서는 안되는 공멸론이다. 분도가 되어 힘이 약화된 광역자치단체가 되어서는 대내외 간에 경쟁력이 있을 수 없다. 이보다는 기전사회의 전통과 역사가 깃들고, 경쟁력있는 1천만 웅도의 공동체로 경기도의 정체성을 지켜가는 것이 공영의 길이다.

강원도에선 전혀 나오지 않는 분도론이 유독 경기도에서만 간헐적으로 나오는 흰소리는 지역사회의 분할보단 단합이 중요하다고 보아 경계하며 배격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