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음식물’이 외면 당한다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는 일이 난관에 부딪혔다.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해서 만든 비료나 사료를 사용자들이 불신하거나 거부하는 사례가 속출해서다.

우리 음식은 대체적으로 염도가 높은 데다 더구나 음식물쓰레기엔 깨진 유리조각, 플라스틱, 폐비닐, 요구르트병, 쇠수세미 등 분해되지 않은 이물질이 섞여있다. 이런 음식물쓰레기로 만든 사료와 비료를 농민들이나 축산업자들이 사용을 좋아 할 리 없다.

개사육업의 경우 사료를 먹이기 시작한 뒤부터 수캐들의 발정이 중단되고 체중도 줄었다고 한다. 사료에 섞인 유리가루가 원인이다. 고추밭에 비료를 뿌린 농가는 염분때문에 고추가 고스란히 말라 죽었다.

부작용은 사료와 비료 뿐만이 아니다. 음식물쓰레기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침출수(쓰레기 썩은 물)는 또 다른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전국에서 하루에 재활용되는 쓰레기 6천378t에서 6천여t의 침출수가 나오고 이 침출수는 t당 1만8천 ~ 2만3천원의 처리비용을 들여 바다에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런 데도 2005년까지 모든 음식물 쓰레기를 자원화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은 황당하다. 마땅히 별도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

현재 하루에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 1만1천237t 중 56.8%가 재활용되고 있고, 올 상반기에 76%를 처리할 수 있는 하루 8천575t의 시설(공공 2천598개, 민간 5천977개)을 설치해 놓은 상태이지만, 정부가 발표하는 재활용률은 자원화 시설로 운반된 양(量)일 뿐이며 유상판매는 19%에 불과하다. 나머지 무상으로 나눠준 분량 중 농민들이 사용한 양이 얼마나 되는 지 의심스럽다.

미약한대로 해결방법이 있다면 가정이나 음식업소에서 음식물쓰레기에 이물질을 무분별하게 넣지 않고 쓰레기량을 줄이는 것이지만 실천 여부가 회의적이다.

문제는 음식물쓰레기를 모두 재활용하겠다는 정부의 장밋빛 계획이다.

일본의 경우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쓰레기는 ‘식품리사이클법’에 따라 재활용하고 불가능한 쓰레기는 ‘폐기물자원법’에 따라 소각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가 매립도, 퇴비·사료화도 어렵다면 ‘에너지 자원화’등 대안이 검토돼야 한다. 정부의 다각적인 연구가 있기를 촉구해 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