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군포시 대야동 수리산 자락의 마을과 안양시 만안구 안양9동 수리산 일대 232만8천평에 오는 2014년까지 1천800억원을 들여 조성한다고 밝힌 ‘경기도민의 숲’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런던의 하이드파크, 뉴욕의 센트럴파크와 같은 도민의 숲은 경기도를 대표하는 대규모 공원으로 곤충학습장, 테마가든, 야생화공원, 산림욕관광, 조류생태공원, 동물보전지구, 수변공원, 광장 등이 들어선다고 한다.
그러나 이렇게 대규모 사업을 추진하면서 사전에 해당지역 땅주인들의 의견도 안묻고 도민의 숲 조성을 시작한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계획안이 나온 이후에도 주민공청회를 열지 않은 것도 일방적인 ‘행정의 횡포’가 아닐 수 없다.
도민의 숲 전체 예정부지 중 국유림 등을 제외한 20만평이 주민들의 생계터전인 농지인데도 도의 숲 조성계획이 주민들도 모르게 이뤄졌다면 민원 야기를 자초한 셈이다. 농지를 수용 당하게 된 납덕골과 덕고개 마을 67가구의 반발은 이유가 있다.
더구나 납덕골과 덕고개 주민들은 수리산 주변이 개발바람에 휩싸이기 오래 전부터 이곳에서 삶의 터전을 잡아 왔다. 지난 수십년간 개발제한구역 규제에도 참고 살아왔는데 경기도가 밀어 붙이기 식으로 농지를 수용하면 주민들이 어디서 살라는 것인가.
지금 납덕골과 덕고개 주민들은 지난달 17일부터 한달이 넘게 도청 앞에서 ‘도민의 숲 백지화’를 요구하며 피켓 시위를 하고 있는 중이다. 이들은 농지를 없애고 수려한 자연생태를 지닌 수리산을 망가뜨리며 공원을 조성할 명분이 없다고 주장하면서 “도의 계획대로 공원조성이 진행될 경우 마을로 들어오는 주진입로 2곳을 폐쇄할 수 밖에 없다”고 맞서고 있어 경시할 사안이 아니다.
경기도민 전체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면서 마찰이 없을 수 없다. 비록 순서는 맞지 않았지만 해당 주민들을 만나 충분히 설명하고 내년부터 실시하는 사유지 보상에 주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바란다.
주민설명회를 통해 주민들이 마을을 떠나지 않고 생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마찰을 해결하는 길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