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남자는 괴로워’라는 영화가 있었다. 억누르는 구세대와 치고 올라오는 신세대에 끼어 스트레스 받는 ‘샌드위치 세대’를 그린 영화로, 이 시대 우리 중년의 자화상을 보는 것 같았다.
심리학에서는 성인중기를 샌드위치 세대(sandwich generation)라고 한다. 이 시기는 노화를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녀 양육과 교육, 노부모의 봉양, 직장에서의 책임 등 이중, 삼중의 부담을 안고 있다. 가정에서는 고부갈등의 틈바구니에 끼어 눈치를 살펴야하고, 어느 날 훌쩍 커버린 아이들은 세대차이가 난다며 외면해 버린다. 직장에서도 역시 마찬가지다. 언제 사표를 써야할지 모르는 불안과 그 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무뎌진 손으로 컴퓨터 자판과 씨름해야 하고 뒤늦은 영어공부에 밤을 새워야한다. 새로운 기술과 정보, 통통 튀는 아이디어로 무섭게 치고 올라오는 신세대 사원들, 상사의 욕구에 맞춰야 하는 부담감 등은 어깨를 더욱 무겁게 한다.
사오십 대. 그 누가 말했던가? 사십대는 뜻대로 안되어서 울고, 체념하면서 살아야 하며, 오십대는 불효에 서러워서 울고, 덧없어 하면서 산다고. 흔들리는 자신을 감추어보려고 애를 써보지만 속내까지 감출 수는 없다.
요즈음 인생은 60대부터란 말이 탄력을 얻고 있다. 중년으로선 사고의 대전환이 필요한 때다. 어깨의 힘을 빼고, 뻣뻣했던 목도 부드럽게 풀어보자. 잊었던 친구도 만나보고, 소홀했던 이웃과 포장마차에서 대포잔도 나누어보자. 그리고 잃어버렸던 자신의 모습을 찾아보자. ‘하늘의 이치’를 깨달을 나이에 무엇에 연연하고 무엇을 두려워한단 말인가?
청춘이란 인생의 어떤 기간이 아니라 마음가짐을 말한다. 장미의 용모, 붉은 입술, 나긋나긋한 손발이 아니라 씩씩한 의지, 풍부한 상상력, 불타오르는 정열을 가리킨다. 중년은 질풍노도의 청년기도 쇠락의 노년기도 아니다.
빵은 맛 좋은 속이 있어야 비로소 샌드위치가 될 수 있듯이, 중년은 이 사회의 가교 역이다. 맛 좋은 샌드위치가 될 수 있도록 더욱 분발해야 할 것이다.
/소 병 주 경기도의회 사무처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