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평택시 팽성읍 ‘캠프 험프리스’ 미군기지 주변 지역 토지 25만여평에 대한 매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 일대 주민들이 미군기지 평택 이전에 대비한 환경보전방안 등 대책이 수립되지 않는한 수용할 수 없다며 반발, 파문이 예고되고 있다.
8일 국방부와 주민들에 따르면 국방부는 평택시 팽성읍 ‘캠프 험프리스’ 미군기지 주변인 대추리 일대 토지 25만여평을 매입하기 위해 지난 10월24일 토공에 위탁했으며 토공은 지난 1일 국방·군사시설사업 수탁보상사업소를 설치한 뒤 이날부터 토지 매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주민들은 당초 국방부 등에 요구한 미군기지 평택 이전에 대비한 환경보전방안 등 대책이 제시되지 않으면 토지 매수에 응할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모씨(57·평택시 팽성읍 대추리)는 “‘캠프 험프리스’ 등 기존 미군기지 주변 주민들이 군사시설로 그동안 많은 불편을 겪어 왔는데 미군기지가 이곳으로 옮겨 온다면 주민들의 불편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당초 국방부에 제시한 환경보전대책 등이 강구되지 않으면 토지 매입에 응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국방·군사시설사업 수탁보상사업소 관계자는 “매입대상 토지에 대해 주민들과 협의보상이 이뤄지지 않으면 공익사업법에 따라 수용 보상도 할 수 있다”며 “하지만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용, 협의보상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평택시 관계자는 “이번 토지 매입은 기존 LPP계획(한·미 연합토지관리계획)에 의거해 추진하고 있지만 시와 도가 참여토록 된 미군기지 대책협의회와 미군기지 대책 실무위원회, 미군기지 대책 계획단 등이 아직 발족되지 않았고 국방부도 뚜렷한 계획을 내놓지 않고 있어 현재 토지수용문제를 논할 수 없다”고 밝혔다.
/평택=김덕현·최해영기자
hychoi@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