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을 비롯해 나이와 직업을 가리지 않고 우리는 인터넷이라는 문화를 접하고 있다. ‘정보의 바다’라는 말은 인터넷을 두고 한 말이다. 많은 정보를 빠른 시간에 필요한 만큼 간편하게 찾을 수 있기에 ‘정보의 바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요즘 이 정보의 바다가 오염돼 정보바다가 쓰레기화 되어가고 있다. 청소년들에게 인터넷은 ‘정보의 바다’로서 학습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상업적 목적을 가진 일부 회사들의 성인대상 사이트는 오히려 청소년들에게 쓰레기 같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요즘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이 성인인터넷 방송이다. 성인인터넷 방송은 성인들만의 문화를 위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유료로 운영되고 있으며, 접속건수가 많이 늘어가면서 상업성이 보이자 근래 많은 성인인터넷 방송국이 세워졌다. 문제는 이 방송을 우리 청소년들이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주민등록번호 점검을 통해 청소년들의 접근을 막고 있다고는 하지만 실제 청소년들은 인터넷을 통해 성인대상의 음란물을 접하고 있음을 각종 통계자료와 뉴스를 통해 우리는 알 수 있다. 그 곳에는 말로 표현 못할 정도의 충격적인 음란물이 공개되고 있다.
또한 해킹 실력을 뽐내는 듯 각종 성인인터넷 방송국의 비밀번호와 뒷문으로 들어가는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들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친절하게 안내해주고 있다. 성인방송국의 내용을 보면 성을 상품화한 프로그램으로 짜여져 있다. 가장 소중하게 이야기 돼야할 성이 극도로 상업화되고 어긋나게 표현된다면 그것을 접한 청소년들은 성에 대해 올바른 가치를 가질 수 있을까? 이러한 성의 가치 혼란으로 인한 피해는 누구의 책임인가. 단순히 음란물 차단프로그램 설치로 어른들의 할 일을 다 했다고 할 수는 없다. 근본적으로 성인인터넷 방송으로부터 청소년들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정보의 바다’를 오염시킨 어른들의 깊은 반성과 너무나 상업적이고 말초적으로 치우쳐버린 성인 인터넷방송에 대한 정부의 심도 있는 대처방안도 시급하다.
청소년들이 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거기에 대해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를 누구엔가 묻고 싶다.
/김재평.대림대학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