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경찰력 너무 부족하다

양주·구리경찰서가 19일 개소됨으로써 경찰서 수가 32개로 늘어나 경기경찰청이 전국 최대 규모의 지방경찰청이 됐다.

그러나 경기도는 서울시의 인구가 수도권으로 분산돼 인구가 급증, 치안 수요를 경찰력이 뒤따르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치안 여건이 날로 악화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해졌다. 이번에 개서한 양주경찰서도 양주·동두천시 등 2개 지역 22만명의 치안을 맡고, 구리경찰서는 20만명의 치안을 담당하게 됐다.

이러한 경기도의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 폭증은 범죄건수의 급증으로 이어진다는 데 문제가 있다. 특히 10년 동안 경기도내 인구는 290만명(43%)이 늘었으나 경찰력은 3천357명(39%)이 증가하는데 그쳤다. 지난 10년 동안 신설된 경찰서는 분당·일산·시흥 등 3곳에 그치는 등 경찰력이 인구 증가를 뒤따르지 못하는 실정이다.

산하에 31개 경찰서를 둔 서울지방경찰청과 경찰 수를 비교할 경우 서울이 2만4천110명인 반면 경기도는 1만2천106명으로 서울시의 절반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특히 전국 경찰 1인당 담당 인구 수는 530명이고 서울시는 426명인데 비해 경기도는 842명으로 서울과 거의 배 이상 차이가 날 만큼 경기도의 치안 여건은 크게 열악한 상태다.

경기경찰청은 적어도 전국 평균 1인당 담당 인구를 기준으로 6천993명의 추가 정원을 확보해 만성적 경찰력 부족현상을 해소해야 한다는 건의를 정부에 제출하고 있지만 수년째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경기경찰청의 현재 치안여건은 차를 타고 도망가는 범인을 맨발로 뒤쫓아가는 상황과 조금도 다르지 않다.

더구나 서울에서 발생한 강력사건들의 범인들이 주로 경기도내로 도피하거나 살인사건의 경우 시체를 경기도에 유기하는 것도 경기경찰의 수사를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올 들어 경기도내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들 가운데 이렇다할 단서를 찾지 못하고 해를 넘기는 수사현황도 경찰력 부족과 무관하지 않다.

미제사건들의 해결 실마리를 찾지 못한다고 질책만 할 것이 아니라 급증하는 치안수요에 걸맞게 경찰력을 충원하고 장비 등을 보강해야 한다. 경기경찰력에 대한 중앙 정부의 특별 조치를 촉구해 마지 않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