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이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다. 충북 음성에서 발생한 조류 독감이 충남 천안, 전라도 나주, 경북 경주에까지 번졌으며, 도내 안성 등에서도 조류독감 신고가 들어와 사실상 전국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이대로 가면 전국의 축산농가는 3년전 구제역 파동때 입었던 피해 못지않게 당할 가능성이 있는데도 정부는 뚜렷한 해결책이 없어 전전긍긍하고 있다. 축산 농가들의 피해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미 오리나 닭의 소비는 50% 정도 감소 되었으며, 가격도 30%정도 하락하였다. 일본, 대만 등은 한국산 조류 제품의 수입을 금지시킴으로써 축산 농가들의 시름은 이루 표현할 수 없다. 최근 경기가 부진하여 연말 경기를 다소 기대하였는데 이런 사태가 발생하였으니 축산농가들은 과연 어떻게 살아가야 될지 걱정이 태산 같다.
음식점등 유통산업의 타격 또한 심각하다. 끓이거나 삶거나 익혀 먹으면 아무 피해가 없다하니 정부도 이를 적극 홍보할 필요가 있다. 우선 시급한 것은 전염경로의 조속한 차단이다. 이를 위하여 방역당국은 이번 조류독감이 발생한 ‘씨’농장에서 배급된 닭과 오리의 배급 경로를 조속히 파악하여 이를 차단하는데 최우선해야 된다. 그러나 아직도 농림당국이 배급된 조류의 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니 이 얼마나 허술한 방역행정인지 참으로 염려가 된다.
이번에도 방역당국의 초기 대처는 너무도 허술했다. 닭이 집단 폐사한 뒤 무려 일주일 후에나 닭에 대한 이동제한 조치가 이루어진 것은 지나친 늑장 대응이다. 그후 닭의 살(殺)처분 과정에서 당국이 보여 준 인력 동원이나 각종 도구의 사용은 거의 초보적인 수준에 지나지 않아 전혀 대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대체 수년전 구제역 파동 때 얻은 교훈은 어디에 갔는 지 알 수 없다.
이번 조류독감은 철새에 의하여 오염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구체적 오염 경로가 나타나고 있지 않아 우선 방역당국은 이에 대한 오염 경로의 조속한 발견이 요구된다.
이번 조류 독감에서와 같이 전염이 이제는 철새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발생하고 있어, 과거와 같은 원시적 방역 대책을 가지고는 안된다. 축산농가에 대한 시급한 보상책 마련과 더불어 혁신적인 방역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