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과 정치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현대정치를 미디어정치라고 까지 한다. 이는 언론이 정치와 국민사이를 연결시켜주는 가장 효과적이고도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매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치와 언론의 관계는 승자와 패자가 있게 마련인 선거철이면 극명하게 드러난다. 유권자 대부분은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신문과 TV로부터 쏟아지는 엄청난 정보를 통해 후보자에 대한 호불호의 감정을 형성하고 결정을 내린다.
그런데 언론은 선거를 후보자나 정당의 정책대결의 장으로 이끌기 보다는 선거운동이나 전략 또는 우월의 보도에 치중함으로써 유권자로부터 합리적 판단의 기회를 뺏고 있는 경향이 있다. 즉 언론이 후보의 지연이나 학연·혈연등을 부각시키거나 ‘격전표밭’ ‘열전현장’등의 표제아래 인기도나 유세장의 청중수 같은 표피적인 내용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흥미위주로 과장보도하고 있다는 학계의 지적도 있다. 언론이 먼저 나서 각 후보등의 정견과 정책을 알아내어 유권자들의 심판을 받게 한다면 정치권 역시 정책개발에 비중을 둘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언론의 역할 재정립이 꼭 이루어져야 한다.
또하나 우리 언론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는 공정성 제고가 아닌가 한다. 이기고 지는 것이 분명한 선거에서 언론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은 익히 아는 사실이다. 그러나 언론보도에 대해 독자나 시청자들은 ‘언론사들이 겉으로 표방하는 엄정중립과는 달리 기사의 행간, 말의 뉘앙스, 지면이나 화면의 구성, 사진의 배열, 방송시간대의 배정, 방송시간의 장단 등에서 한쪽으로 기울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말한다.
특히 선거보도를 인기도, 청중수 등 흥미위주에서 탈피하여 유권자들에게는 후보자 판단 기준의 제공차원에서, 후보자간에는 공정경쟁의 대결장을 마련해준다는 차원에서 정당의 정강·정책이나 후보자의 공약사항을 보도의 초점으로 해야만이 공명선거가 실현될 수 있고 독자와 시청자들로부터 신뢰를 얻어 언론의 위상도 높아질 것이다.
/최왕섭·의정부시 선관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