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평택이 경남 밀양이나 부산 구포에 비해 경부고속철도 정차역이 될 이유가 없다고는 믿지 않는다. 이런데도 건교부는 내년4월 개통하는 고속철도 정차역사로 밀양과 구포를 추가하면서 현안의 평택은 또 제외시켰다. 건교부는 이로써 정차역이 9개로 늘어나면서 일어난 저속철 비난을 의식, 시간대별로 일부 차량편만 정차하는 방식으로 2시간 40분 대의 주파시간은 예정대로 지킬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역시 의문은 남는다. ‘고속철의 수익성과 지역주민의 편의를 위해 고려했다’는 것이 밀양과 구포를 정차역으로 추가한 건교부측 해명이지만 도대체 이해가 가지 않는다. 평택은 동북아의 서해안 중심지가 되는 평택 항만의 배후 도시다. 미 공군부대가 주둔하고 있으며 미군용산기지 이전이 예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평화시’ 건설이 추진될 개획이다.
또 국제적 관광지인 송탄관광특구가 있다. 어느면으로 보든 고속철도 정차역으로 밀양이나 구포보다 뒤질 이유가 있을 수 없다.
평택과 가까운 충남 천안이 이미 정차역이 됐으므로 평택을 정차역으로 하기 어렵다고 보는 것이 아마 건교부측의 생각인 것으로 짐작된다. 천안이 어떤 근거로 정차역이 됐는지를 따지거나 이를 새삼 비난하고자 하는 마음은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비록 시간대별로 정차하더라도 평택은 반드시 정차역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물론 대구 이남 노선은 고속철이 기존선을 이용하므로 승강장을 별도로 만들 필요가 없어 정차에 추가 비용이 들지 않는 것은 안다. 하지만 건교부측 말대로 고속철의 수익성과 주민편의를 고려한다면 평택역사에 수천만원의 추가 비용이 드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없다.
서울과 광명에서 출발하는 경부고속철도가 경기도에선 논스톱으로 가다가 충청도 들어서는 천안·아산·대전서 자꾸 서게 하고 그리고는 영남에선 동대구·부산 사이에 또 밀양과 구포를 끼워넣은 건 참 이상하다.
이도 총선을 앞두고 경남 민심잡기라는 소문을 부인하기 어려운 처사인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새마을호가 서던 군소 역사의 안전위해를 무릅써가며 고속철도 정차역으로 하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석연치 않기 때문이다.
어떻든 건교부는 평택을 우선은 시간대별 정차역일지라도 정차역으로 당장 추가 지정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