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의 무분별한 영입 문제있다

"열린우리당의 무차별 영입을 부정적으로 보는 당내 비판의 목소리는 건강하다.

“장관이나 신문사 간부 지낸 사람을 모셔와 국회의원 만들어 주는 자원봉사 조직이 아니다”라고도 하고 “우리당이 밤섬도 아닌데 무슨 철새 도래지냐”는 말도 나오는 것 같다. 아니나 다를까 외부에서 보기에도 그같은 객관적 시각이 비친다. 심지어는 “당을 저주하고 조롱하던 사람까지 영입하는 게 말이나 되느냐”는 당내 성토는 지도부가 귀담아 들을만 하다.

과거의 입당자들 가운데도 무슨 개혁 의지보다는 권력 지향의 구습으로 보이는 인사들이 없지 않았다. 한데, 근래들어 지지도가 급등하면서 예컨대 일부의 광역자치단체장들이 영입 형식으로 잇따라 입당하는 것은 목전의 시세에 편승하는 것이라고 보아 모양새가 좋아 보이지 않는다. 남의 당 사람을 빼오는 구태 정치를 되풀이하는 것으로 비치는 것은 기성 정당과의 차별화 표방에 배치되어 유익하지 않다.

남의 당 사람을 무차별로 끌어들여 상대 당을 교란시키고 나서 적당히 용도폐기하곤 한 것은 과거의 여권이 흔히 써온 상투적 수법이었다. 우리는 열린우리당 입당으로 탈당하는 상대당을 위해 이를 말하는 게 아니다.

열린우리당이 참다운 개혁정당의 인식을 실증해 보이고자 한다면 쓰레기같은 낡은 영입 방법은 지양해야 한다고 보는 게 우리의 생각이다. 그간의 기성 정당이 동지적 정치집단이기 보다는 이해 관계의 집단인 폐습이 없지 않았다. 열린우리당이 이와 차별화되지 못한 것은 개혁정당의 표방과는 거리가 멀어도 무척 멀다.

정당의 부침은 끊임없는 변화다. 잘 나가는 시기의 허장성세 영입보다는 어떤 불운이 닥쳐도 당을 지키고자 하는 진성 당원의 인재를 발굴해야 할 줄로 안다.

아울러 이 기회에 열린우리당에 확인하고 싶은 것은 당의 정체성이다. 우리가 아는 진보정당이 맞다면, 그리고 개혁이란 것이 이에 초점을 두는 것이라면 어정쩡한 보호색을 띠기보다는 당당하게 나서는 것이 공당의 자세다. 이 또한 기성의 보수정당과 차별화가 되는 점으로 믿는다. 지금처럼 보수 인사 등 이런 저런 사람이 뒤섞인 짬뽕정당이 되어서는 과거 정권과 마찬가지로 권력이 만들고 권력을 따라간 향일성 해바라기로 보아져, 작금의 무분별한 이른바 영입이란 것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진단된다. 좀 더 지켜보고자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