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금 당일 대출’ ‘대학생이면 누구나 가능’ ‘신용카드 연체와 상관없이 무담보 대출’이라는 인터넷 홈페이지 문구에 현혹된 대학생들이 신용불량자로 내몰리고 있다. 학자금 명목의 신용대출 이자는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이자율보다 높은 연24~36%이지만 하루라도 이자를 연체하면 이자율이 최고 66%로 껑충 뛰는 ‘고리(高利)대출’이다.
대출중개업자들은 학생 신분만 확인되면 보증이나 담보없이 간단한 인적사항과 연락처만 받고 제2금융권의 저축은행 및 대부업자 등에게서 학생 명의로 최고 900만원까지 대출을 받아주고 학생으로부터 대출금의 5%정도 수수료를 챙긴다.
학생들도 저축은행에서 대출받을 수 있으나 저축은행마다 대출기준이 다르고 절차도 복잡해 이들 중개업자를 찾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이렇게 대출받은 돈 중 ‘진짜 학자금’은 극소수고 대부분 카드빚을 갚거나 용돈과 유흥비 등 ‘소비형 지출’에 사용한다는 사실이다.
중개업자를 통해 돈을 빌려 주는 저축은행들도 “학자금 대출은 대출 중개업체들의 마케팅 방법일 뿐”이라며 “재학증명서 등을 받기는 하지만 이는 일반인들도 빌릴 수 있는 소액신용대출로 분류되고 있고 학자금으로 쓰이는지 여부는 확인하지 않는다”고 한다.
학자금 명목으로 돈을 빌리는 학생이 전국적으로 한달 평균 1천명을 웃돌고 이자를 제때 못내 정기적인 수입이 없는 학생들이 순식간에 신용불량자로 전락하고 있다.
대출중개업자들이 대학생 대출을 선호하는 이유는 연체 경험도 적기 때문에 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쉽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리고 연체시 ‘학교로 찾아 가겠다’ ‘부모에게 알리겠다’는 독촉전화 몇 통이면 연체도 쉽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무보증이어서 높은 이자율을 받을 수 있는 점도 있다. 더구나 학생들은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워지자 위험을 감수하면서 어쩔 수 없이 대출중개업체를 찾고 있다.
‘인터넷 학자금’대출의 사회적 폐해는 사회에 첫 발을 내딛기도 전에 신용불량의 늪에 빠져 취업마저 어려워지는 점이다. 대학생들 본인이 신중하게 행동하여야 되겠지만 금융당국이 돈만 빌려주면 된다는 식으로 처리해서는 안된다. 금융당국의 보완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