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성 잃은 탄핵관련 방송 성찰해야

"방송위원회 보도교양 제1심의위원회가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 3사의 탄핵관련 프로그램에 대해 신중성과 공정성을 촉구한 권고조치는 문제가 있음을 인정한 것이다.

방송위의 심의는 지난달 12일 국회에서 대통령 탄핵 소추안이 가결된 날부터 15일까지 방송3사가 정규 뉴스를 비롯, 교양 등 시간대 편성을 통해 일방적으로 집중 부각시킨 탄핵소추 반대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이 가운데는 여론조사를 빙자해 ‘탄핵 사유가 안된다’느니, ‘총선 전에 재판을 마쳐야 한다’느니 하는 등 자의적 예단으로 헌법재판소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방송을 거듭거듭 되풀이한 프로그램도 포함돼 있다.

방송3사의 탄핵관련 방송은 탄핵에 대한 찬·반을 떠나 기본적 객관성의 양식이 의심될만큼 공정성을 잃은 건 부인될 수가 없다. 비단 이번 심의 대상에 든 것만 그런 것도 아니다. MBC-TV가 탄핵찬성 집회에서 나왔다는 대통령 영부인 비하 발언도 그 진실이 규명되어야 한다. 문제의 발언이 어떤 전제 뒤에 부정적 가상 의제로 비유한 것을 방송사측이 전제 발언은 삭제, 비유되지 않은 진짜 비하 발언인 것처럼 둔갑시킨 게 맞다면 이야말로 정말 영부인을 모독하는 제작 태도인 것이다.

KBS가 단순히 방송사고라고만 우기는 어느 토론 프로그램의 배심원 투표 불방 의혹도 해명돼야 한다. ‘탄핵무효 촛불집회, 사법처리 논란’의 토론에서 배심원들의 투표 결과를 제대로 내보내지 않고 서둘러 끝낸 것은 방송사측 의도에 반한 불리한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 아니냐는 강한 의문을 사고 있다.

방송사측은 대체로 ‘기계적 중립은 배격한다’느니, ‘편집권의 자유’라느니 하는 말로 반박하지만 당치 않다. 기계적 중립배제를 하고자 하여 적어도 이성적 여론정립의 형식을 빌렸다면 또 모르겠다. 이도 아닌 감성적 여론 몰이로 군중재판 하듯이 한 게 방송윤리규정에 과연 합당한 것인 지 의문이다.

편집권이라는 것도 그렇다. 예컨대 앞서 말한 대통령 영부인에 대한 비하발언이 본의와 다르게 말의 앞뒤를 잘라낸 게 사실이라면 이는 방송사측이 입맛에 맞춰 조작한 것이 지 편집권이라 할 수 없다.

텔레비전 방송이 대중매체로 갖는 위력은 실로 대단하다. 그러나 이렇다 해서 행여라도 자만심을 갖는다면 신뢰를 자해한다. 탄핵관련 방송에 대한 용기있는 내부의 성찰이 있어야 할 것으로 믿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