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장자장 자는고나 / 우리애기 잘도 잔다 / 은자동이 금자동이 / 수명장수 부귀동이 / 은을 주면 너를 살까 / 금을 주면 너를 살까 / 나라에는 충신동이 / 부모에게 효자동이 / 형제간에 우애동이 / 일가친척 화목동이 / 동네방네 유신동이 / 태산같이 굳세거라 / 하해같이 깊고 깊어 / 유명천하 하여보자 / 잘도 잔다 잘도 잔다 / 두등두등 두등두등 / 우리애기 잘도 잔다” 파주 지방에 전승되는 ‘자장가’다.
자장가는 아기에게 사설내용을 들려주기 위해서 어른들이 부른다는 점에서 어린이들만이 부르는 전승 동요와는 그 성격이 다르다. ‘심청가’나 ‘옹고집타령’에도 삽입가요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예로부터 전국적으로 불려 왔음을 알 수 있다.
‘자장가’ 속의 사설 속에는 자식이 금은보다도 소중하다는 어머니의 애정과 더불어 아기가 훌륭히 자라서 나라에는 충신 되고 부모에게 효자 되며 형제간에 우애있고 일가친척과 화목하고 동네사람과 신망이 있는 사람이 돼라는 간절한 기대가 담겨 있다.
이러한 어머니의 애정과 기대는 상투구절(常套句節)처럼 전국의 ‘자장가’에 고루 스며 있다. 울기만 하는 앞집의 아기와 대비하면서 잘 자는 아기를 칭찬하기도 하고, 아기가 잘 수 있게 앞집 강아지도 짖지 말고 뒷집 닭도 울지 말도록 당부하기도 한다.
‘자장가’에는 아기가 어서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어머니의 마음도 그윽한데 지방마다 비유가 색다르다. “둥실둥실 모개야 아무락구 긁아다오 / 둥굴둥굴 모개야 개똥밭에 궁글어도 / 아무락구 긁아다고”(경상북도 봉화) “우리애기 하룻밤자믄 / 물웨크듯 커감져 / 우리애기 이틀밤 자믄 / 벙에 가찌 커감져”(제주도).
부귀나 명예보다 모과(모개)·오이(물웨)·흙덩이(벙에)처럼 건강하게만 자라기를 바라는 서민적인 내용이 담겨 있다.
그런데 요즘 젊은 엄마들 중 대부분이 자장가를 육성으로 부를줄 모른다고 한다. 아기는 어머니의 목소리를 들으며 몸과 마음이 성장한다고 하는데 자장가를 듣지 못하는 요즘 아기들이 불쌍하다는 생각이 든다./임병호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