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청정지역화 청사진

한해 1천만 그루씩 앞으로 10년 동안 총 1억 그루의 나무를 심어 경기도를 하나의 거대한 공원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은 매우 고무적이다. 이같은 양의 나무가 보급되면 10년 후인 2014년 부터는 오존주의보 발생 건수를 한 자릿수 이하로 끌어내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대부분 도로변이 녹지화돼 오존주의보 최다 발생지역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날 뿐 아니라 경기도가 청정지역으로 재탄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경기도내 차량 증가대수는 매년 18만5천대로 전국 최고 수준이다. 차 한대 당 연간 726g의 아황산가스(SO )와 3만6천670g의 질소산화물이 발생한다. 스모그와 오존(0 ) 오염이 주범인 아황산가스나 질소산화물로 인해 경기도는 지난해 28회의 오존주의보가 발령됐다. 스모그와 비슷한 성격의 연무발생일수도 16일(수원 11일, 동두천 5일)이나 됐다.

더구나 급속한 도시화와 산불로 인해 경기도의 산림면적이 해마다 줄고 있을 뿐 아니라 인구가 급증하면서 1980년 1인당 1천303㎡이던 산림면적은 2000년 615㎡로 줄었고 10년 후에는 466㎡로 더욱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나무 1억 그루를 심으면 1인 당 공원면적이 현재 4.4㎡에서 10년 후 6㎡로 확대된다. 이렇게 경기도가 매년 1천만 그루의 나무를 심으면 차량 18만여대에서 나오는 아황산가스를 자연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도가 추진하는 ‘나무심기운동(푸른경기 그린(Green)프로그램 21’은 대기오염방지와 함께 날로 줄어드는 산림면적을 도시 공원으로 보충하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친환경사업이다.

도시를 둘러싼 녹지축을 마련해 훼손을 최대한 막는 가운데 도심내 가로변, 철도변, 완충녹지, 학교, 강변 등에 수림대를 조성하면 녹지확보는 물론 대기를 획기적으로 정화하여 ‘청정 경기’가 이룩될 것이다.

나무를 많이 심는 일은 지구온난화와 기상이변을 막는 지구환경운동이기도 하다. 한해 1천억원에 육박하는 예산과 시·군의 협조가 문제점이지만 경기도가 추진하는 ‘한해 1천만 그루 나무심기’는 반드시 실행돼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