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지역정가 재편설이 분분하다. 도의원과 시·군의원의 열린우리당 입당설이 무성하다.
열린우리당이 도내 국회의원의 약 70%에 해당하는 35석을 석권한 지각 변동의 여진이 꽤나 세다. 말이 지역정가 재편이지 일방적인 무더기 여당행이다. 시류와 시세를 타는 무상한 또 한번의 이합집산이 벌어지는 것 같다. 그랬다. 제1공화국에서 이승만의 자유당 정권, 제2공화국 장면의 민주당 정권, 제3·4공화국은 공화당의 박정희 정권, 제5공화국 민정당의 전두환 정권에서도 그랬다.
제6공화국 들어 노태우, 김영삼의 민자당 정권에 이어 김대중의 새천년민주당 정권에서도 역시 그랬다. 그 때마다 지역정가는 여권으로 몰렸다. 이제 노무현 정권의 여당인 열린우리당으로 또 쏠린다 하여 이상할 것은 없을 지 모르겠다.
그러나 이러한 정당 옮기기가 당연하다고 또한 말하기는 어렵다. 몸 담았던 정당과 생각이 달라 옮기는 것도 아니다. 일신의 처신과 편의에 따라 이리 저리 왔다 갔다 하는 지방정치인의 정당 편력은 지역사회를 우롱하는 거나 다름이 없다.
이들에게 정당은 정당이 아닌 붕당이다. 신념에 의한 정당활동이 아니고 이해에 얽혀 떼거리 짓는 붕당인 것이다. 조선조의 사색당파를 붕당이라고 욕할 것도 없다. 사색당파는 그래도 죽음 앞에서까지 지조를 굽히지 않는 고전적 신념을 보였다.
정당 옮기기를 신발 바꿔신기보다 쉽게 여기는 편력꾼들은 정치개혁의 대상이다. 정치개혁을 제도개혁과 의식개혁으로 나누면 의식적 정치개혁의 청산 대상이 바로 정당 편력꾼들인 것이다. 여당으로 가면 뭔가 좋은 일이 있을 것 같은 기대감에서 배신을 밥먹듯이 일삼는 이들을 여당 또한 경계의 대상으로 알아야 할 것이다.
정당의 당세는 이제 당원의 수가 아닌 질로 보는 진성당원 위주로 가야하는 게 이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흐름이다. 동지적 유대감 없이 이해관계로 얽힌 정당은 위기가 닥치면 모래알처럼 흩어진다. 열린우리당은 어떤 정당이며, 지역정가 재편에 동요된다는 그들이 누구인가를 지켜보고자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